5장. 병인병기학 요약

홈 > 한의학자료 > 대체의학고급자료 > 진단학
대체의학고급자료

5장. 병인병기학 요약

50 민족의술대표(보정) 0 595 10 0

                         5장

 

病因病機(요약)

 

Ⅰ. 病因

 

* 原發性 病因 ① 外感병인 : 六淫, 癘氣

② 內傷병인 : 칠정내상, 음식, 勞倦

③ 기타병인 : 외상, 蟲獸傷, 약물의 부작용, 선천성인자(유전병)

* 續發性 病因 ① 痰飮 ② 瘀血

 

 

제1장 原發性 病因

 

제1절 外感病因

* 六淫 : 風, 寒, 署, 濕, 燥, 火 - 六邪 ▷ 외감병의 주요한 발병인자 : 외감육음

* 六淫 발병의 특징

① 계절과 관계 : 봄 - 風病, 여름 - 暑濕病, 가을 - 燥病, 겨울 - 寒病, 暑症 외는 4계절 발생

② 환경과 관계 : 여름철 햇볕, 고온환경 - 暑症, 장기간 습지 - 濕病

③ 단독 발병, 함께 발병 : 寒邪설사, 風寒감기, 濕熱설사, 風寒濕 痹증(저릴, 류마치스 비)

④ 상호 영향, 轉化 : 寒邪가 裏로 가면 熱火, 濕邪 울결되면 熱火

⑤ 表에서 裏로 침범 : 피부, 입 코로 침입 장부 손상

 

1) 風 : 六淫之首(병발생 선도, 백병의 근원), 內風 - 肝陽亢進

* 성질과 특징

① 陽邪이고 開泄(피모, 주리를 열어 氣 유출), 陽位 침입한다.

② 잘 이동하고 자주 변한다. : 관절통, 두드러기, 갑자기 발병, 병변이 빠름

③ 百病의 長 : 가장 흔하고 쉽게 인체에 침입한다. 한습조열과 동반 침입, 외감병인의 총칭

 

2) 寒 : 外寒 - 외계의 寒邪, 內寒 - 인체기능 陽氣 쇠퇴 시 발생

* 陽虛內寒 : 쉽게 외한 침입하여 오래되면 양기 손상되어 內寒을 일으킨다.

* 성질과 특징

① 陰邪로서 陽氣를 손상 : 오한, 사지가 차다. 분비배설물이 맑다(수액온화실조). 舌苔 윤활하다.

② 凝滯(응체)되는 성질과 통증유발 : 양기손상(온화실조)되어 경맥이 막히고 疼痛(동통)이 생김

③ 收引(수인)을 주관 : 氣 운동위축, 주리를 막고 경락근육수축, 衛氣불통, 오한발열, 땀이 안남

 

3) 署 : 완전 外邪, 계절성, 傷署, 中署

* 성질과 특징

① 陽邪이고 무더운 성질 : 火熱에서 변화, 高熱, 煩熱(번열), 面紅

② 증발, 氣 소모, 진액 손상 : 땀구멍을 열어 땀 유출, 진액소모, 갈증, 소변 붉고 적다. 심신불안

③ 濕邪를 겸한다. : 차고 날음식 섭취하여 발열 번갈 머리 몸 무겁고 가슴 답답하다.

 

4) 濕 : 外濕, 內濕 : 脾 운화기능실조 체내에 濕이 몰리는 증상

* 성질과 특징

① 陰邪이고 氣 순행저해 陽氣손상 : 흉강 瘀滯 - 가슴 답답하다. 비위 瘀滯 - 입맛 없고, 완복부 답답하다. 설사, 소변양 적어진다. 脾 陽氣 손상, 운화 실조, 설사, 수종증상 발생

② 끈끈하여 停滯(정체) 시킨다. : 대변 소변 시원하지 못하고 분비물 설태도 끈끈하며 오래간다.

③ 아래로 흐른다. : 수종이 하지에 나타난다.

④ 중탁하다. : 머리와 전신이 무겁고 피곤, 사지가 시큰하고 무거워 움직이기 싫다. 더럽고 탁한 증상. 눈곱, 묽은 대변, 점액 농혈 섞인 하리, 소변혼탁, 백대하 과다, 습진 진물 증상

 

5) 燥 : 溫燥 - 온열이 합해진 증상, 凉燥(양조) - 燥에 한기가 합해진 병증

* 성질과 특징

① 건조하여 쉽게 진액손상 : 입코건조, 갈증, 거친 피부, 머리칼 윤기없음, 소변량 적고, 대변건조

② 폐를 쉽게 손상 : 폐진액의 윤활작용을 잃으면 발산 숙강기능에 영향, 마른기침, 가래가 적고, 목이 마르고 아프다. 호흡이 힘들다. 천식, 흉통

 

6) 火 熱 : 열은 溫이 점차 발전, 火는 열이 극도로 된 것. 풍열, 서열, 습열, 署는 계절성,

* 성질과 특징

① 위로 타오르는 성질 : 上炎, 心火上炎 - 혀끝 붉고 아프고, 입이 헤지고 구내염

肝火上炎 - 두통, 눈 충열 붓고 아프다. 胃火上炎 - 잇몸 붓고 피가 난다.

② 氣, 津液 손상 : 元氣손상, 전신성 기능감퇴, 기허 증상(숨 모자라고, 말하기 싫고, 맥이 없다)

③ 바람을 일으키고 혈맥손상 : 음액손상 근육자양실조, 고열, 혼미, 헛소리, 사지 오그라든다. 눈이 꼿꼿. 肝風內動, 화열의 사기가 혈맥손상하면 출혈증상

④ 종양을 발생 : 사기가 한 부분에 모이면 종양 붉어지고 붓고 열, 통증

⑤ 心神 혼란 : 火는 心기운, 血주관, 神을 저장, 神이 혼란 가슴 답답, 불면, 번민, 혼미, 헛소리

 

 

2. 癘氣

* 전염성 있는 外邪, 발병이 급하고, 병세위험, 사망률 높고 전염성이 강한다.

* 역려 발생 요인

① 기후 : 비정상적 기후, 오랜 가뭄, 장마, 홍수

② 환경 : 오물처리, 비 위생적 환경, 해충

③ 개인위생 및 예방격리 : 개인위생, 섭생, 체질증강, 환자격리

④ 사회요인 : 경제 문화 낙후지역

 

 

제2절 內傷病因

 

1. 七情內傷

喜, 怒, 憂, 思, 悲, 恐, 驚 : 자극에 대한 情志의 반응 : 七情內傷, 情志傷

 

1) 칠정과 장부기혈의 관계

 

2) 七情발병의 특징

① 직접 內臟을 손상시킨다. ② 心과 가장 관계가 깊다.

③ 氣機에 영향을 미친다. ④ 情志異常은 항상 병세를 악화시킨다.

 

(1) 칠정은 오장에서 생성되나 심하면 오장을 손상시킨다.

① 喜傷心 : 기가 흩어진다(緩). 정신산란, 맥없음, 피곤, 산만, 심계, 실신, 광란

② 怒傷肝 : 기가 위로 치올린다(上). 소설기능 항진. 두통, 面紅, 이명, 토혈, 기절 / 다몽

③ 思傷脾 : 기 울결(結) 기 중초 집중 비기가 막혀 운화기능실조. 식욕 떨어짐. 소화불량, 불면,

④ 憂悲傷肺 : 기가 소모(消) 숨이 차고, 가슴 답답, 혼미, 맥이 없고 움직이기 싫다.

⑤ 恐傷腎 : 기가 무너져 내린다(下). 대소변 실금. 水化 부조화로 흉복부 창만, 불면

⑥ 驚傷心 : 기가 문란해진다(亂). 불안정, 허둥, 심계, 답답, 숨이 차다. 정신착락

 

(2) 칠정과다는 오장손상, 心이 가강 관계가 깊다.

(3) 情志이상은 病情을 악화시킨다.

 

 

2. 음식 : 원인 병은 脾와 胃

(1) 음식무절제 : 부족하면 정기쇠약, 과식은 소화 흡수 운화기능을 넘어서 체내에 몰림

찬 음식 과다 - 한사로 淡, 기름지고 단 음식 - 內熱 부스럼증상

(2) 불결한 음식 : 식중독, 구토, 설사

(3) 편식 : 찬 음식 - 양기손상, 한습내부발생 복통 설사, 뜨거운 음식 - 비위에 열, 목마르고 대변이 굳고 치질 발생. 五味와 五臟, 편식은 장부기능을 偏盛, 偏衰하게 되어 내장손상 질병발생

* 짠 음식- 혈맥소통실조, 안색변화 쓴 음식- 거친 피부, 솜털 빠진다. 매운 음식- 근맥 땡기고 손발톱 거칠어진다. 신 음식- 肌肉이 주름, 입술 튼다. 단 음식- 뼈마디 아프고 머리카락 빠짐

(4) 음주 : 습열 내생 음 손상

 

분류

외감병인

내감병인

발병경로

邪氣가 외부로부터 침입 表에서 裏로

臟腑가 먼저 손상 병이 내부 발생

질병의 성질

대부분 기가 넘치는 實證

대부분 기가 부족한 虛證

치료원칙

表를 치료 병사를 제거하는 방법사용

내부조절 장부간 조화, 精氣보충 중점

병인범위

六淫

七情, 음식, 勞傷

 

 

3. 勞倦

(1) 육체피로 : 오래보면 血손상, 오래 누우면 氣손상, 오래 앉으면 肉손상, 오래 서있으면 骨손상

오래 걸으면 筋손상. 五勞손상

(2) 정신피로 : 심과 脾기 손상, 기억력감퇴, 불면, 다몽, 식욕부진, 복부창만, 설사

(3) 방사과다 : 腎精손상, 요통, 이명, 기억력감퇴, 성기능 장애

(4) 권태 : 근골 연약, 비위정체, 신체허약, 淡

 

 

제3절 其他病因

 

1. 外傷

(1) 金瘡(금창), 跌打傷(질타상) : 출혈과다, 氣滯血瘀(기체혈어), 화농

(2) 火傷(화상)

(3) 凍傷(동상) : 寒陰邪로 양기손상

2. 蟲獸傷(충수상)

 

 

제2장 續發性病因

 

1. 痰飮(담음)

痰飮은 六淫의 침습이나 음식 및 七情內傷 등으로 인해 肺 脾 腎 三焦의 장부기능 실조로 수액대사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한다. 肺- 선발숙강, 脾- 운화, 腎- 증발기능 失調. 淡은 기 승강에 따라 속으로는 臟腑, 겉은 근골피육에 침범하고, 飮은 腸胃, 흉협부, 피부에 머문다.

 

(1) 담음의 특성

① 경맥의 기혈운행을 저해 : 사지저리다. 반신불수, 중풍

② 기의 승강출입을 저해 : 폐- 가슴답답, 기침, 천식, 위(하강정체)- 트림, 딸국질, 구토

③ 수액대사에 영향 : 담음은 다시 수액대사에 영향 준다.

폐-水道 불통, 비- 飮생성 腎陽손상, 중등기화기능 실조로 수액조절 배출기능 상실- 수액정체

④ 담음으로 인한 증상은 복잡하고 다변한다.

淡 : 肺-기침, 숨참, 가래. 心-가슴답답, 두근, 혼미, 정신이상. 胃-구역, 구토, 복부창만.

經絡-사지저림, 반실불수. 머리-현훈. 인후- 목에 이물감

飮 : 腸-腹鳴. 흉협부- 흉부답답, 기침 가슴통증. 흉격- 가슴답답. 기침, 똑바로 못누움,

체표- 부종, 땀이 안 난다. 온몸이 무겁고 아픈 증상

 

 

2. 瘀血 : 혈액이 체내에 멈춰있는 것

 

(1) 어혈의 형성

① 外傷 ② 출혈 ③ 氣虛 : 혈액운행기능 상실 ④ 氣滯 : 기 운행이 순조롭지 못함

⑤ 血寒 : 한사로 양기손상 陰寒이 성하다. ⑥ 血熱 : 혈액 농축, 熱邪가 혈맥 손상

 

(2) 어혈의 특성

① 疼痛 : 부위고정, 밤에 더 심함. ② 腫塊(종괴) : 부위고정, 이동 안됨. 청자 청황색

③ 출혈 : 혈맥손상 외부로 출혈, 암자색 ④ 발열 : 주로 야간, 갈증은 있으나 입가심만 한다.

⑤ 紫色(자색) ⑥ 다양한 증상

어혈부위

임상소견

胃, 腸

子宮

肢體肌膚

下肢

心痛, 心悸, 胸悶

胸痛, 咯血

吐血, 옻칠 같은 흑색 대변

胸脇痛, 痞塊(비괴)

發狂

月經不調, 月經痛, 閉經, 崩漏

腫痛, 靑紫

脫疽(탈저)

 

Ⅱ. 發病

發病은 病情의 다양한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발병은 正氣의 강약을 위주로 하는 正邪간의 대립과 체질 등에 좌우되며, 기후, 지역, 계절 등의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을 포함하는 외적인 조건과 관계

 

1. 正邪와 發病

 

1) 正氣 :

2) 邪氣 : 外感(六淫, 疫氣), 內傷(水濕, 淡, 飮, 瘀血), 七情, 勞倦

3) 正邪투쟁의 결과가 발병여부를 결정 : 邪氣가 正氣를 이기면 發病

 

 

2. 내외 환경과 발병

 

1) 외부 환경과 발병

① 기후요인 : 감기, 기관기염, 천식, 관절염 - 환절기, 傷寒, 학질, 유행성뇌염 - 여름, 가을철

痲疹, 백일해, 유행성 뇌척수염 - 겨울, 봄철

② 지리요인 : 동방- 어류, 짠음식 - 피부검고, 주리 성글고 옹양 서방 - 육류, 내부 발병

북방- 유제품, 內臟寒邪, 창만. 남방- 신음식, 발효음식, 근육, 사지마비. 중앙- 사지무력 한열

③ 생활환경과 근로환경 : 해충, 전염병, 산업공해, 오염물질 등

④ 사회환경 : 인간관계, 가정, 문화환경 등

 

2) 내부환경과 발병

① 체질과 발병 : 체질은 精氣와 밀접, 오장이 견실하면 병이 없고, 오장이 취약하면 쉽게 질병에 걸린다. 기육부실 주리 성글면 - 풍병, 오장이 연약하면 - 소갈병, 골격작고 기육연약 기색이 불일치하면 寒熱病, 피부무늬가 거칠고 주리가 성글면 痺證 : 후천적 섭생으로 체질강화 필요

② 精神情志의 상태와 발병

 

 

 

Ⅲ. 病機

질병이 發生, 發展, 變化하는 機轉, 정사투쟁, 음양실조, 기혈진액실상.

‘辨證‘은 병기를 분별한다는 뜻이다.

 

제1장 病機총론

 

제1절 邪正盛衰

 

1. 邪正盛衰와 허실변화의 病機 : 實은 邪氣의 넘침. 虛는 正氣의 모자람이다.

 

1) 虛實의 病機

* 虛症은 기혈, 진액, 경락 장부의 기능이 허약해지고, 저항력이 낮아져 허약 쇠퇴 부족의 증후

→신체허약, 질병후기, 만성병, 중병, 오랜 병, 땀 구토 설사 대출혈으로 기혈진액 정기소모

→피로, 초췌, 가슴뛰고 숨차다. 자한, 도한, 가슴 손에 번열, 춥고 찬것 싫음, 사지가 차다. 맥허함

* 實證은 邪氣가 성하고 정기가 아직 허약하지 않은 상황에서 정사가 극렬하게 투쟁하는 상태

→질병초기, 중기, 淡, 食, 水, 血이 체내 정체되어 생기는 병증

→열, 복부창만, 가슴답답, 누르면 아프다. 煩燥, 혼미, 헛소리, 가래, 굳은 대변, 설사 후 묵직

소변이 시원하지 못하다. 설태 두껍다. 맥이 實하다.

 

2) 虛失의 병기변화

(1) 허실전화(虛實轉化)의 病機

* 인실치허(因實致虛) : 邪氣盛則實이었으나 치료부족, 체력쇠약, 기혈진액 손상으로 正氣奪則虛

* 인허치실(因虛致實) : 正氣奪則虛이었으나 기혈진액운행 완만, 대사실조로 食積, 淡, 水濕, 瘀血 이 체내 머물러 邪氣盛則實을 초래한 것

(2) 허실협잡(虛實夾雜)의 病機

* 허증과 실증이 겸해진 증상으로 正虛와 邪實 가운데 무엇인 먼저인지를 구별 인과관계를 확인해야한다. 인허치실은 正虛가 원인, 邪實이 결과. 인실치허는 邪實이 本 正虛가 標

 

3) 허실진가(虛實眞假)의 病機

(1) 진허가실(眞虛假實) : 본질은 虛이나 겉으로 實한 假象이 나타나는 것.

비위운화 감퇴시 - 복부창만, 동통 발생하며 양기가 외부로 나타나 정신흥분, 面紅, 煩燥 등의 假實증후, 본질은 虛로 맥상이 허약무력, 舌質이 붓고 연약, 舌苔가 벗겨져 번들거린다.

(2) 진실가허(眞實假虛) : 본질은 實이나 겉으로 虛한 假想이 나타나는 것.

熱이 腸胃에 결합, 痰飮이 내부를 막거나, 濕熱로 적취형성시 - 기혈(양기)이 외표에 도달 못 하여 사지가 차고, 기혈내부울결로 의기소침 전신권태 등의 가허증상이나, 맥상이 활삭유력 설 태가 누렇고 거친 증상

 

 

2. 邪正盛衰와 질병의 轉歸(전귀)

(1) 정승사퇴(正勝邪退) : 정기가 강하면 사기가 물러간다.

(2) 사승정쇠(邪勝正衰) : 사기사 강하면 정기가 쇠약해진다.

 

 

제2절 陰陽失調

 

1. 음양편성(陰陽偏盛) : 實證

1) 陰偏盛 : 음이 盛하고 양이 아직 허하지 않은 實寒證 - 양이 음을 억제 못해 陰寒 생성

陰寒이 오래가면 양기손상 陽病이 생긴다.

2) 陽偏盛 : 양이 盛하고 음이 아직 허하지 않은 實熱證 - 陽邪침범 기능항진 高熱, 面紅, 赤眼

陽熱이 오래가면 陰液손상 陰精고갈 陰病이 생긴다.

구분

陽편성

陰편성

병인

① 溫熱(陽邪)의 침범에 의한 熱症

② 陰邪에 침범됐으나 陰邪가 陽으로

轉變된 熱症

③ 情志의 손상으로 장부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熱症

④ 氣滯, 食積, 血瘀 등에 의해 나타나는

熱症

① 寒濕(陰邪)의 침습에 의한 寒症

② 차가운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여

중초가 陰寒한 邪氣를 형성하여

나타나는 寒症

 

 

 

병기

陽氣의 偏盛에 의해 생체기능의 異常亢進

과 함께 熱症이 발생한다.

陰氣의 偏盛으로 인해 생체기능의 억제

와 함께 寒症이 나타난다.

증상

장열(壯熱), 안색의 홍조

目赤(눈 충혈)

오한, 수족냉증, 舌色淡

안색이 창백하다.

 

2. 음양편쇠(陰陽偏衰) : 음양이 허약

1) 陰偏衰 - 陰虛

*음허로 精, 血, 津液 등 음액이 손상, 음액부족으로 양을 억제하지 못하고 양이 상대적으로 盛해지는 虛熱證. 양기가 상대적 항진, 음허내열(陰虛內熱), 음허화왕(陰虛火旺), 음허양항(陰虛陽亢)

*음허내열(陰虛內熱) : 온몸에 虛熱, 가슴답답 五心煩熱, 潮熱, 여위고, 盜汗, 입이 마르고, 혀가 붉 고, 맥이 가늘고 빠르다.

*음허화왕(陰虛火旺) : 목이 마르고 아프고, 잇몸 붓고, 뺨 붉고, 각혈, 가래에 피가 섞인다.

*음허양항(陰虛陽亢) : 양기상역으로 어지럽고, 이명, 사지가 저리고, 근육이 떨린다.

 

2) 陽偏衰 - 陽虛

*양허로 양기허약, 기능감퇴쇠약, 양허로 陰을 제약 못하여 음이 상대적으로 亢盛 虛寒證. 선천양기부족, 보양부족, 피로손상, 오랜병으로 인한 양기손상 원인. 주로 脾腎의 陽虛 주원인, 腎陽虛衰

*온화기능실조→장부경락기능감퇴→혈진액 운행감소→수액대사 장애→체내 陰寒이 盛해진다.

*얼굴색 희멀건, 손발차고, 혀가 희고, 맥이 늦어지는 寒症과 허리 구부리기 눕기 피로 소변 맑고 길며, 소화 안되는 대변 등의 虛症이 나타남. 허리 무릎 시큰하고 차다. 배 붓고 설사증상 虛寒證

* 양이 허해서 발생하는 寒(陽虛則寒 :虛가 주요), 陰이 盛해서 발생하는 寒(陰盛則寒 :寒이 주요)

 

구분

陰편쇠

陽편쇠

病因

① 陽熱邪氣 왕성으로 陰精소모

② 五志의 치우침이 극에 달해 火를

형성하여 陰을 손상

③ 병이 오래되어 陰精이 소모

① 先天命門 火氣不足

② 후천적인 음식 부절제, 倦勞傷에 의한

양기손상

③ 지병에 의한 양기손상

病機

陰精부족으로 陽氣가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해 생체기능의 항진과 함께 熱症 동반

양기 부족으로 인해 생체 각 기능의 감퇴

와 함께 陰寒證을 동반

병기

특성

陰液부족하여 陽氣를 제약하지 못해 陽氣

가 위로 떠오르거나 虛火를 형성

양기가 음기를 제약하지 못하여 陰氣만연

주증상

골증조열(骨蒸潮熱), 五心煩熱, 盜汗

맥상세삭무력(脈象細數無力)

안색 창백 추위를 많이 타고 소화되지

않는 변을 많이 보고 맥상지완(脈象遲緩)

3. 음양호손(陰陽互損)

상대방에 지장을 줘 陰陽兩虛가 생기는 병리변화. 이는 腎 자체의 음양 실조된 정황에서 발생

1) 음손급양(陰損及陽) : 陰虛(精, 혈, 진액 손상)에 의해 양기가 상대할 곳이 없어 소모되어 陽虛

간양상항-신음 水부족으로 목 자양 못해 간양항진→신정기 소모(신양손상)→신양부족→음양양허

2) 양손급음(陽損及陰) : 양기손상되면 음이 양의 도움을 못받아 음액이 부족, 양허에 의해 음허

수종증상-양기부족→기화작용실조→수액대사장애→진액정체→수액피부로넘침→음부족→음양兩虛

 

4. 음양격거(陰陽格拒)

음양이 서로 거부 외부로 밀어내는 격거의 병기, 음양편성이 극에 달하여 상대방은 극허 상태

1) 음성격양(陰盛格陽): 陰寒이 성하여 陽熱을 격거. 몸에 열감은 있으나 이불을 덮으려하고, 더운 음식을 찾고, 손발 불안, 의식분명, 맥은 크지만 힘이 없는 假熱. 眞寒假熱 음한극성

2) 양성격음(陽盛格陰): 熱邪가 內盛하여 인체외부로 도달할 수 없고 몸 겉으로 陰寒 격거 열병극성, 팔다리싸늘, 맥가라앉고, 가슴번열, 뼈가 화끈, 몸은 차지만 이불을 안 덮는다. 假寒. 眞熱假寒

 

5. 음양망실(陰陽亡失)

1) 망양(亡陽) : 양기가 크게 손상. 맥이 매우 약하거나 빠르면서 힘이 없다. 입술청자색

2) 망음(亡陰) : 음기망실→망양→음영결별→정기 끊어져 사망. 맥이 가늘거나 빠르거나 힘이 없다

 

 

제3절 氣血失調

 

기의 생리작용 : ① 推動 ② 溫煦 ③ 固攝 ④ 防禦 ⑤ 氣化

 

1. 氣의 失調

 

1) 氣虛 : 元氣, 宗氣, 衛氣의 허약, 기의 기능감퇴로 쇠약한 현상 - 선천적, 후천적, 과로, 오랜 병, 폐비신 장부기능 감퇴 원인. 기 생리작용실조로 인한 제 현상 발생한다.

 

2) 기기실조 : 기의 승강출입운행실조 현상 - 오장육부, 표리내외, 사지, 구규에 병리현상

(1) 氣滯(기체) : 기기가 울결, 막혀 기의 운행이 순조롭지 않은 병리상태

인체국부-국부창만, 동통. 혈액운행-어혈발생. 진액순환-수습, 담음. 폐기(선발숙강)-흉협만 민(胸脇滿悶), 흉배동통(胸背疼痛), 해소, 담. 간기(소설)-협복창민동통(脇腹脹悶疼痛), 월경부 조, 痛經. 비위(승강)-복부만민창통(腹部滿悶脹痛), 噯氣, 吐酸, 변비

(2) 氣逆(기역) : 氣 上昇이 과도, 하강이 잘 안됨. 장부의 기가 거꾸로 흐르는 병리현상

원인- 음식, 寒溫이 부적절, 淡濁(담탁)이 가로 막는 일, 肺胃肝에 주로 발생

肝氣上逆은 혈이 기를 따라 올라가 각혈, 토혈, 淸窺(청규)가 막혀 昏厥(혼궐) 증상발생

(3) 氣陷(기함) : 氣虛(기허)의 일종으로 기가 無力(무력) 올려 받들지 못하는 병리. 기허에서 발전

장기를 들어 올리는 힘이 약해 장부조직이 아래로 이동, 胃下垂, 腎하수, 자궁하수, 탈항

(4) 氣閉와 氣脫 : 기 출입의 異常, 막히거나 빠져나가는 중한 병리, 혼궐 망탈, 重症으로 표현

氣閉(기폐) : 濁邪(탁사)가 외부를 막거나, 기 울결로 중초를 막아 사지 차갑고, 청규를 막아 혼미 사람을 못 알아본다. / 사망

氣脫(기탈) : 正氣가 대량 빠져나가 급속쇠약 虛脫증상의 주원인, 질병의 위중단계, 음양결별

 

2. 血의 失調

1) 血虛(혈허): 혈액생산부족, 과도한 손실로 유양(濡養)기능 감퇴하여 장부와 百脈에 영양을 못줌

 

血虛(혈허)의 출현부위에 따른 임상소견

부위

임상소견

頭部(두부)

머리, 눈이 어지럽고 현기증이 남. 안색 창백, 입술과 설색이 담백함

心(심)

심신이 쉬 피로함. 건망증, 불면, 심계, 怔忡(정충: 근심걱정)

肝(간)

손톱색이 흐리고 윤기 없음. 심하면 형태변형. 사지굴신 운동장애

눈이 뻑뻑하고 시력 감퇴

충맥, 임맥

월경이 느려지거나 생리혈이 감소, 색이 흐려짐. 월경 불순

經脈(경맥)

근육이 당기고 수족이 저림. 관절운동 장애발생

 

2) 血瘀(혈어): 혈액순환이 늦어지고 막히거나 유통불순, 혈이 엉긴다.

*원인- 기기가 울결 정체되어 혈액운행이 막힘. 氣虛(기허)로 혈액운행이 무력, 淡濁(담탁)

寒邪로 혈이 응고, 熱邪로 진액을 졸여 어결, 경맥 벗어난 혈, 어혈이 혈맥을 막음.

*증상- 통증부위가 일정, 얼굴색 검어짐, 피부 거칠고 두터운 밤색 각질, 검붉은 입술, 點狀斑狀출 혈, 실핏줄, 심하면 腫塊(종괴)- 癥(징)

 

3) 血熱(혈열): 혈내에 熱이 있어 혈행이 빨라지고 脈道가 확장 심하면 출혈되는 병리

*원인- 熱邪가 血分에 침입, 온열사기 寒邪 情志의 과도 울결 등의 熱 轉化되어 혈분에 침입

*증상- 陰, 血손상으로 가슴답답, 초조, 발광, 衄血(뉵혈:코피), 吐血, 尿血, 월경이 빠르고 양과다

舌質 진홍색 맥이 가늘고 빠르다.

 

 

3. 기혈의 상호의존 이용하는 기능실조

氣는 陽, 血은 陰. 氣는 혈에 대해 온후, 추동, 화생, 통섭작용을, 혈은 기에 대해 濡養하는 작용

氣虛는 혈 생산에 지장 血虛가 되고, 혈부족(血虛)은 기가 의지할 곳이 없어 영양을 못 받아 氣虛

 

1) 기체혈어(氣滯血瘀): 기체 혈어가 동시 존재, 氣滯로 혈액순환장애 발생, 이어 血瘀의 병리상태

*원인- 情志內傷, 욕구불만, 섬좌외상(閃挫外傷), 간과 심의 생리기능실조

*증상- 脹滿, 동통, 반상출혈, 積翠(적취), 징가

2) 기불섭혈(氣不攝血): 기허부족으로 혈액통섭을 못해 혈이 경맥 밖으로 넘치는 병리

*원인- 脾氣(혈통섭기능) 손상, 中氣(중기)부족

*증상- 혈수기함(血隨氣陷:氣虛로 下陷)일 때는 혈변, 뇨혈, 월경양 과다, 崩漏

3) 기수혈탈(氣隨血脫): 대출혈로 氣가 혈액을 따라 유실되어 虛脫의 위중한 증상

*증상- 陽氣 망실로 식은 땀, 사지가 차가와짐. 현기증, 芤(규:경화된 혈관)하거나 沈細微弱한 맥

4) 기혈양허(氣血兩虛): 氣虛와 血虛가 동시에 존재하는 병리.

*원인- 血손상후 氣 衰약, 氣손상 후 혈생산 부족으로 혈허. 心脾陽虛

*증상- 얼굴색 담백, 윤기없는 황색, 말하기 싫어함. 피로 무기력, 몸이 야윔, 피부건조, 사지저리 고 마비, 심계, 불면 등

5) 기혈실조(氣血失調): 경맥을 濡養하지 못하여 사지근육 운동장애, 감각이상, 피부 가렵고 건조 깔깔한 증상

 

제4절 津液代謝失調

氣의 승강출입이 실조되면 진액대사(생성,수송분포,배설과정)의 이상 초래, 진액대사 이상은 氣승강출입의 이상 초래한다. 진액대사는 폐 선발숙강, 비 운화수포, 신 기화작용으로 이루어진다.

 

1. 진액부족 : 체내 진액이 양적으로 감소하여 장부와 피부 구규에 滋潤과 영양이 부족 건조현상

*원인- 燥熱의 邪氣, 장부의 火와 가도한 五志가 熱로 轉化 진액손상, 오랜 병, 精血의 부족 등

*津- 맑고 묽으며 유동적, 장부 피부 구규에 관련, 눈이 쑥 들어감, 피부탄력성 상실, 경련

*液- 걸쭉 비유동적, 장부, 골수, 뇌수, 척수 충양. 설질 붉고 설태가 없고 형체가 수척

 

2. 진액의 수포와 배설장애 : 진액이 체내에 머물러 濕, 淡, 飮, 水 등의 병리산물 형성

(1) 진액의 수포장애 : 수송분포 실조로 순환이 늘려지고 국부에 정체 濕, 淡, 飮, 水가 넘쳐 수종

*원인- 폐 선발숙강 실조→진액이 피부 방광 수송분포 실조→폐에 담, 수종발생

비 운화 실조→순환속도 느려 담습 발생→부종, 창만

간 소설 실조→氣機원활치 못함→기 정체→진액 정체

신 기화 실조→진액의 기 전화 못하여 정체

三焦의 水道 불리→진액 환류에 직접적 영향, 기의 기화 기능에 영향

(2) 진액의 배설장애 : 땀과 소변으로 轉化 기능 감소로 수액이 피부에 수종 형성

*원인- 땀은 폐의 선발, 소변은 腎의 기화기능. 기화기능실조시 수종발생

 

3. 진액과 기혈의 기능실조 : 혈과 진액은 근원이 같고 기능이 유사하다.

1) 수정기조(水停氣阻): 수액이 정체 氣機를 가로막는 병리→氣化실조, 昇降出入장애→氣정체

2) 기수액탈(氣隨液脫): 진액대량 소모하면 기가 진액을 따라 갑자기 빠져나가 위중한 상태

3) 진고혈조(津枯血燥): 진액결핍으로 혈맥 속 진액이 마르는 것. 大熱, 陰虛癆熱 원인

4) 진휴혈어(津虧血瘀): 진액결핍으로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못함.→혈량부족→혈어병변

 

 

제5절 五邪內生 病機

기혈, 진액, 장부 등의 기능변화로 육음외사발병과 유사한 다섯 가지 병리가 내부에서 발생한다.

 

1. 내풍(內風): 陽氣가 亢進變動하여 발생. 肝風內動이라 한다. 간양항성으로 혈 저장기능, 근맥주관, 目竅 기능이 실조된다. 증상- 현기증, 사지가 땡기고 뻣뻣하다. 졸도, 눈을 치켜뜨며 구안와사, 반실불수, 경련, 震顫(진전:떨림), 사지마비, 수족 꿈틀

 

1) 열극생풍(熱剋生風): 熱邪 왕성으로 간풍발생 증후.

*원인- 外感溫熱이 肝陰을 손상→筋膜에 영양상실→포급(抱急)하여 수축→열극생풍 형성

*증상- 추축(수족이 빈번하게 신축), 角弓反張(몸이 활처럼 뒤로 젖혀짐), 눈동자 위로 몰림, 입을 꼭 깨무는 경련증상. 혀는 붉고 심홍색, 현삭맥(弦數脈)- 간경에 火熱

 

2) 간양화풍(肝陽化風): 체질적으로 陰虛하여 간양이 쉽게 亢盛, 情志의 자극, 과로가 극도하면 火로 변하여 風을 만든다. 풍이 화를 북돋아 上炎하고 기혈이 따라 상역하여 上盛下虛의 병리형성

*증상- 風이 上焦에 動하면 두통, 현기증, 사지마비, 근육경련, 수족에 연동, 말을 못한다.

陰이 下焦를 손상하면 하초가 허하고 걸음이 불안 휘청거림

혈이 기를 따라 역상, 風陽이 脾를 범해 습담이 성하면 청규를 동요시켜 경락을 뚫고 들어 가 구안와사, 반신불수, 설강불어(舌强不語)

 

3) 음허풍동(陰虛風動): 열병후기에 음액손상 고갈로 근맥실조 내풍발생, 虛風內動, 허열내부발생

4) 혈허생풍(血虛生風): 혈이 허해 근맥을 영양 못해 풍이 발생. 대출혈 오랜 병의 혈허증

 

 

2. 내한(內寒): 양기쇠약으로 온후 기화기능 감퇴되어 내부에서 寒발생 陰寒邪氣 만연한 병리

脾腎의 양기부족 주원인. 寒으로 인한 수축은 腎에 속한다.

 

(1) 內寒의 病機

* 양이 허하면 음이 성하고 음이 성하면 內寒이 발생 : 찬 것 싫어하고 따뜻한 것 좋아한다.

* 양기가 허약하면 기화기능 감퇴로 내부에 음한이 성해진다.

(2) 장부의 內寒 병변

* 心陽 虛 : 심협부 답답, 비트는 것처럼 아프고 안색과 입술이 푸른색

* 脾陽 虛 : 묽은 변 설사

* 腎陽 虛 : 허리 무릎이 차고 아프다. 설사, 소변량 많음. 陽萎, 여성 불임(자궁이 차다)

(3) 內寒과 外寒의 차이점 및 연관성

* 차이점 : 내한은 虛하면서 寒 (허 위주), 외한은 주로 寒이 위주 양기손상으로 허상을 겸한다.

* 연관성 : 한기가 양기손상 결국 양허 초래,

(4) 眞寒假熱의 병리상태

* 양허내한이 발전하면 진한가열의 병리상태가 된다. 몸에 열이 나며 虛大하고 빠른 열상증상이지만 더워도 이불을 덮으려하는 寒象이 지배적이다. 음한이 성해 양을 외부로 밀어내는 假象

 

3. 내습(內濕): 비 운화, 진액 수송분포 실조로, 수곡정미를 운화 못해 水濕 淡濁으로 변한 것.

脾虛生濕(내습은 비허 원인), 腎陽이 허약해도 脾의 운화에 영향을 끼쳐 습탁이 발생

습은 陰邪, 濕偏盛→양기손상→脾陽,腎陽에 영향→陽虛濕盛 증상초래

* 經脈에 정체 : 머리가 무거워 싸맨듯. 몸이 무겁고 관절굴신이 불편

* 상초에 정체 : 가슴답답, 기침

* 중초를 가로막으면 : 완복부 그득, 식욕부진, 입이 끈적거리거나 입이 달다.

* 하초에 정체 : 배가 붓고 설사, 소변이 원활치 못함

* 피부와 근육사이 : 수종발생

 

4. 내조(內燥): 진액부족으로 장부와 피부 공규를 영양 못해 메마르고 거친 병리상태

*원인- 만성병, 오래된 열로 음액 손상, 진액이 졸아 듬, 濕邪가 火熱하여 燥로 轉化

 

(1) 內燥와 관련된 장부 : 燥症은 혈을 먼저 치료해야 한다.

* 폐는 燥金의 臟으로 기를 주관하고 전신에 진액을 운반한다.

* 위는 濕한 것을 좋아하고, 건조한 것을 싫어한다.

* 대장은 燥金의 腑로 진액을 주관한다.

* 腎은 전신의 기화를 주관하고, 신음은 오장음액의 근원이다.

(2) 內燥의 증상 : 윤택함을 잃는다. 피부건조, 피부비듬, 갈라짐, 입 목구멍 건조, 입술이 타며 혀에 진액부족 붉고 갈라진다. 코 안이 건조, 눈 따끔거림, 손발톱 부러진다. 대변 건조, 소변량 적고 붉으며 잘 안 나온다. 마른기침, 담은 적고 피가 섞여 나온다. 虛熱과 虛火를 수반한다.

 

5. 내화(內火)내열(內熱): 火熱內生, 화열이 내부를 요동하여 기능이 항진된다.

1) 陽氣가 지극히 성하면 熱로 轉化 : 인체대사가 항진 氣,血,津液,精 등이 대량 소모된다.

2) 邪氣가 울결하면 火로 轉化 : 풍한조습이 裏로 들어와 울결되어 양기를 따라 熱, 火로 변한다.

3) 五志가 과도하면 火로 轉化 : 情志자극으로 氣機가 울결 지속되면 熱로 轉化, 肝火 변증초래

4) 음허화왕(陰虛火旺) : 精血부족 음액손상→양기항성→허열발생→허화내생

화열증후가 특정부위에 집중적 나타난다. 咽痛, 치통, 骨蒸, 顴紅(광대뼈주위 붉어짐) 虛火上炎

* 虛火는 음혈부족으로 양을 끌어내리지 못함으로 화가 상염한 것. 병세완만 병정이 길다.

오심번열, 오후에 관홍, 불면, 도한, 입 목구멍 건조, 현기증, 이명, 설진이 붉다. 설태가 적다. 맥이 가늘고 빠르다.

* 實火는 양기가 남아돌고 사기가 울결 화로 변하는 것. 병세 급하고 짧다. 고열, 면홍, 갈증으로 찬물 마심. 소변 황적색, 대변건조, 구설에 瘡발생, 설질이 붉고 눈이 충혈, 혼미, 난동, 설태가 누렇고 건조, 홍삭맥(洪數脈) 實火는 음 진액 소모 음허화왕 야기, 허화, 虛實夾雜證 초래한다.

 

 

 

제2장 병기각론

 

제1절 臟腑病機

 

1. 오장병기

 

1) 心의 병기

君主之官, ① 主혈맥 추동작용으로 전신 순환 ② 主神志 정신 의식 사유활동 주관

* 心陽, 心氣 - 혈액운동을 온후, 추동작용, 정신의식 사유활동을 흥분시킨다.

* 心陰, 心血 - 혈맥을 충실히, 심장, 심양기를 자양, 항진 방지, 심신의 안정과 요동방지

 

(1) 心陽, 心氣의 실조

가) 心의 陽氣가 지나치게 성한 경우

- 實火 원인: 熱邪가 내부에 쌓임. 痰火鬱結, 情志손상, 過 五志가 火로 轉化

- 虛火 원인: 노심초사 심음 심혈 손상, 음혈부족으로 양기가 상대적으로 항성됨.

* 심신조요(心神躁擾): 양기 항성하면 神明을 흔들어 불안. 심계,심번,불면,다몽,언어과다,헛소리

* 血에 熱이 있으면 혈류를 빠르게 한다.: 陽氣 盛하면 열발생, 氣가 남아돌면 火발생. 혈이 열을 받아 맥류가 빨라진다. 가슴 두근, 맥이 빠르고 설질이 진홍색, 혓바늘, 혀끝 갈라짐, 출혈증상

* 心火上炎 혹은 轉移: 심의 규는 혀. 심화가 경맥을 따라 치솟는다. 구설 짓무르고, 혀끝 갈라지고 입 코 건조. 小腸으로 전이 하초를 거쳐 방광으로 간다. 요도의 작열 동통 황적색 혈뇨

 

나) 心의 陽氣가 지나치게 쇠약한 것 : 심기허→심양허(심기허+양허증)가 된다.

* 心氣虛 : 가슴두근, 무서운 느낌, 가슴답답, 숨이 차다. 피로하면 더 심해진다. 얼굴 담백색 희멀 건하다. 혀가 연하고 설태가 희다. 맥은 허하고 힘이 없다.

* 心陽虛 : 기허로 심양손상, 사지가 차다. 寒盛으로 경맥응결, 어체로 심맥이 막힘. 심장앞쪽이 아프다. 설태가 희고 두껍다. 미세한 맥

* 心神不足 : 의식, 사유활동 감퇴, 흥분이 잘 안된다. 정신피곤 쇠약 사고력 부족, 반응이 느리고 혼미, 잠을 많이 자고 말하기 싫고 음성이 낮다.

* 혈맥한체(血脈寒滯) : 심양부족→혈액운행부진→응체, 어혈, 心脈瘀阻→온후부족→虛寒 中焦발생

온몸이 차고 안색 하얗고 청자색, 명치부분 답답, 극심한 통증, 구슬땀, 양기망탈

* 심기허쇠(心氣虛衰) : 심양기허쇠는 폐기부족초래, 氣 上逆 기침, 호흡곤란(눕지 못함, 종기부족 현상), 腎陽은 心陽의 근본 心 腎 陽虛가 서로 영향 함께 나타난다.

 

(2) 心陰, 心血의 실조

가) 心陰虛 : 心陰부족(오랜병, 情志過度, 心肝火 왕성), 음이 양을 수렴 못하여 심양이 항성, 심화 가 왕성. 神志불편, 심계번열, 오심번열, 도한, 脈細數, 舌質紅

나) 心血虛 : 心血부족(失血,생산부족: 전신성, 情志內傷: 단순성), 心神불안정, 불면, 다몽, 무집중, 정신몽롱, 박동불안정, 가슴두근, 무서움증, 안색창백, 무광택, 설질 담색 윤기없음, 현훈 건망

다) 심혈어조(心血瘀阻) : 혈액운행 정체로 원활하지 않고 심맥이 막히는 병리. 寒邪 淡濁 원인

경맥순행통로에 동통, 혀 암자색 紫斑 瘀點, 담이 많고 몸이 무겁고 피로, 설태 희고 두텁다.

 

(3) 心病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 및 발생기전

* 심계정충(心悸怔忡) : 심장 두근, 공포감을 느낀다. 심음 심혈손상, 심양 심기손상

* 심번(心煩) : 心火가 極盛하여 心神을 요동. 心陰부족으로 虛火가 心요동 神志가 불안정

* 不眠, 多夢 : 심양항성으로 양이 음분에 못 들어가고 心神을 못 지킨다.

* 健忘 : 心기혈부족, 폐기부족, 腎精부족 髓海가 영양을 못 받아 정신쇠약 / 內陷

* 희소불휴(喜笑不休), 發狂 : 웃음을 자제 못하는 병증. 심화항성으로 痰火가 上部요동, 熱邪心包

* 昏迷 : 인사불성, 양기가 갑자기 빠져나감. 담탁이 심포를 가린다. 기화 상역하는 氣厥 원인

* 심전구별민동통(心前區憋悶疼痛) : 심양부진, 담탁,어혈로 기혈운행 막힘. 眞心痛, 心經 노선상에 胸痛, 心痛, 脇痛

* 얼굴, 爪甲부위 암자색 : 심양허약, 한사 혈맥에 정체 혈액운행방해

* 얼굴색이 창백하고 윤기가 없다. : 심기, 심혈 부족 얼굴부위 영양공급 부진, 창백, 무광택

* 심의 주혈맥 기능실조로 나타나는 脈象

- 세약무력맥(細弱無力脈) : 心氣虛衰로 추동무력, 가늘고 약하며 무력하다.

- 결대맥(結大脈) : 心氣가 오는 것이 고르지 못해 순행리듬 실조

- 세삭맥(細數脈) : 心陰, 心血의 허쇠하여 심양항성, 가늘고 빠른 맥상

- 산대삭맥(散大數脈) : 心陽氣 허약으로 완만 무력해져 느리고 무력한 맥상, 외부로 떠오르면

산대하고 빠른 맥이 나타난다.

- 허대무력맥(虛大無力脈) : 心血허약 맥도가 충만하지 못하여 공허해지면 허대무력 혹은 부맥

- 삽지맥(澁遲脈) : 어혈이 맥도를 막거나 한사가 심맥에 정체 혈액장애 발생하면 삽지한 맥

 

 

2) 肺의 病機

肺는 체내외 氣 교환처. 氣, 호흡, 선발(승발+발산), 숙강기능을 주관, 백맥을 모아 心의 추동을 돕고, 水道소통조절하여 혈액 수송분포 대사를 촉진한다. 衛氣를 선발 피부표면을 보호한다.

 

(1) 肺氣의 失調

가) 폐기의 선발과 숙강기능 실조 (승강출입)

* 폐실선발(肺失宣發): 승발(상향적)과 발산(외향적)운동의 장애로 기도가 불리, 호흡불편, 肺氣上 逆을 초래 코 막히고, 재채기, 기침, 가슴이 그득한 것.

* 폐실숙강(肺失肅降): 하강과 호흡기청결기능 감소로 氣상역, 기침 숨차고, 답답, 淡이 많은 증상

선발숙강의 실조는 폐기상역을 초래 咳逆, 氣喘 등 유발. 通調水道기능 실조로 수액대사장애

나) 肺氣虛 : 肺氣虛損, 선발숙강실조, 오랜된 병, 과로, 오랜 해소로 폐 손상발생

폐기소모→종기부족→호흡기능감퇴→기침, 숨차다, 묽은 가래, 말소리 기어든다. 얼굴 담백색

正氣모자람, 자한, 바람을 싫어함. 방어기능 감소, 감기 쉽게 걸림. 혀 연하고 설태 희다.

 

(2) 肺陰虛

폐 진액부족(鼻竅 皮毛의 건조증상)과 음허화왕(폐음부족으로 虛熱의 內生을 야기)을 포괄.

*肺陰 원인- 장기적인 燥熱邪氣, 痰火울결, 五志의 과도가 火로 轉化

*증상- 肺陰부족→虛熱盛→肺氣上逆→기침, 진액이 淡이 되어 끈적끈적

폐허열→오후에 燥熱, 오심번열, 도한, 광대뼈 주위 붉어짐, 가래에 피, 쉰 목소리, 肺腎陰虛

 

(3) 폐병에서 흔히 발생하는 증상 및 발생기전

* 해수(咳嗽) : 폐기상역, 기침소리만 나면 해(咳), 가래만 나오면 수(嗽), 다 나오면 해수

* 기단(氣短) : 폐기손상으로 얕게 쉬고 숨이 찬 것.

* 효(哮:으르렁거릴효) : 담이 기를 막아 승강출입실조 현상, 가래 끓는 소리, 목이 멘다.

기침가래가 시원하게 안 나온다.

* 천(喘) : 천식, 호흡이 가쁜 증상, 肺腎虛로 신이 氣 수납을 못하고, 風寒 痰飮으로 폐숙강 장애

* 흉민동통(胸悶疼痛) : 흉부답답, 동통, 폐락이 邪氣에 막힘. 淡,瘀,水飮이 폐기를 막아 기기불통

* 객담(喀痰), 객혈(喀血) : 수액대사실조로 담발생, 脾虛로 痰濕이 내부에 쌓여 상부로 넘치는 것

객혈은 痰熱이 火로 轉化, 肝火가 肺를 범하여 폐락 손상원인

* 뉵혈(衄血) : 코피, 肺胃에 熱, 肝火上逆으로 肺竅와 맥락 손상, 열이 혈을 핍박 妄行원인

* 자한(自汗) :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오는 것. 폐기 허약하면 위양(衛陽)이 부실 주리가 열린다

 

 

3) 脾의 病機

수곡정미의 변화, 수액운화, 진액 수송분포작용, 脾氣는 수곡의 淸氣를 상승, 혈을 統攝주관

 

(1) 脾陽, 脾氣의 失調

脾陽氣실조→脾陽부족, 脾氣부족→脾운화기능 실조→氣血생산저하, 水濕, 痰飮발생→腎陽손상

 

가) 脾氣虛

음식, 과로, 안일로 비기 손상, 선천적 원기부족, 과도한 사려로 비기손상, 오랜 병

* 소화흡수기능 감퇴 : 운화기능 부실로 식욕부진, 소화불량, 미각감소

* 승청(昇淸)기능 실조 : 昇淸실조-현훈, 눈이 아물거림, 降濁실조-완복부 창만, 설사

* 기혈 생산부족 : 운화기능 실조, 기혈생화 약화, 전신성 기혈부족 초래

* 비불통혈(脾不統血) : 통섭기능실조로 출혈 증상

* 중기하함(中氣下陷) : 비기상승작용 실조되어 함몰증후, 위하수, 탈항, 자궁하수, 소변 혼탁

 

나) 脾陽虛

脾陽虛損, 脾氣虛損에서 발전, 命門火 쇠퇴로 脾를 온후 못하거나 寒邪, 날 찬음식으로 脾陽손상→운화기능 실조→헛배, 식사량 감소→陰이 盛하여 체내에 寒, 기순환 응결되어 배가 아프고 더운 것, 눌러주기를 좋아한다.→水寒이 체내에 盛→水濕운화실조→腸으로 밀려 묽은 음식물 설사, 새벽설사 등 허한성 증상, 사지가 차다. 비양허는 체내에 수습이 쌓여 방광의 기화기능실조→소변불리, 팔다리 묵직, 온몸에 부종, 여성은 백대양 많아지고 묽게 된다.

 

다) 수습중조(水濕中阻)

脾陽氣부족으로 운화기능 실조, 수곡정미생산이 부실, 수액대사 장애로 水濕이 내부에 정체 발생

체질이 陽虛 陰盛하면 濕이 寒으로 轉化 寒濕발생→脾陽손상하여 濕盛 陽이 쇠약한 증후

체질이 陽盛 하면 濕이 熱로 轉化 濕熱발생→중초에 습열로 肝膽을 훈증하면 소설기능저하, 담에 熱邪가 성하고 담즙이 빠져나가 황달 증상이 나타난다.

 

(2) 脾陰의 失調

비장에 陰液이 부족한 상태. 비음허는 오랜 병, 열병으로 비위의 음액 손상 발생한다. 脾虛는 모두 脾氣虛이다. 비기허에서 온후기능 감퇴이면 寒象으로 脾陽虛가 되고, 비기허에서 진액수송 유포 무력으로 燥象이면 脾陰虛가 된다. 비음허는 胃陰부족을 초래 하강기능 실조로 상역, 헛구역질, 딸꾹질이 난다. 비음허는 陽을 억제하지 못하여 허열증후, 입안 건조, 붉은 설질, 적은 설태

 

(3) 脾病에서 흔히 보는 증상 및 발생기전

* 복부 창만통 혹은 완복통(脘腹痛): 운화기능무력, 음식 오래 정체, 寒氣응체, 肝氣가 脾를 범하 여 기기울결정체→청탁의 승하강이 부실하여 복부창만 아픈 증상발생

* 식욕부진, 변당(便溏) : 비위의 수납 운화기능 실조→水濕이 체내정체,

소장이 청탁분별 못함→묽은 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설사

* 황달(黃疸) : 비운화기능문제로 습탁정체 간담의 소설기능 장애로 담에 열사로 담액 빠져나감.

* 탈항, 자궁하수, 및 내장하수 : 中氣下陷으로 각 부위를 고정시키지 못하여 발생

* 便血, 崩漏 : 비기허로 혈 통섭 실조로 혈이 腸으로 넘쳐 대변으로 나옴, 충임맥 부실하면 붕루

* 신중핍력(身重乏力) : 脾陽 脾氣부족, 비가 濕邪에 손상 온후 영양을 못해 피곤, 무기력 증상

 

 

4) 肝의 病機

혈 저장, 혈량 조절, 소설작용, 기기유통 조절, 情志 소통 창달, 비위 소화기능 촉진

 

(1) 肝陽, 肝氣 失調 (간양 간기 실조)

가) 간기울결(肝氣鬱結): 간의 소설기능이 감퇴, 氣機가 원활하지 못하여 氣가 정체된 병리상태

정신적 자극, 정서가 울결되거나 노여움으로 간의 손상이 주원인. 창만, 동통의 증상

기가 간에 정체하면 양 흉협부 脹滿, 좌협부 동통발생, 젖가슴, 아랫배가 뻐근, 답답, 부위가 옮겨다니며 아프다. 소설기능 파괴는 정서가 우울 초조 화를 잘낸다. 淡이 생성 氣를 따라 목 구멍에 몰리면 매핵기(인후에 이물감), 목에 몰리면 영류(갑상선종대)가 생긴다.

나) 간기횡역(肝氣橫逆): 情志의 자극으로 인해 발생. 氣機逆亂과 橫逆하여 脾를 범한다.

간기횡역은 비위에 영향, 胃氣 하강실조로 위기상역 초래, 트림, 신물, 구토, 완복부 동통발생

운화기능실조 복통 설사 발작. 극에 달하면 지나친 화를 내거나 肝火수반하여 氣火상역 토혈 뉵혈, 氣逆

다) 간화상염(肝火上炎): 간기울체된 氣가 轉化, 지나친 노여움으로 肝손상하여 氣火上炎, 과다정 서자극으로 五志가 極하여 火로 轉化, 肝膽에 습열이 壅盛하여 火로 변하는 요인으로 발생

간의 양기가 상염하므로 머리가 터질 듯아프고, 얼굴 붉어지고, 눈충혈, 조급, 화를 잘내고, 이명 안들리는 증상. 肝火가 음혈손상하면 陰虛火旺 초래. 肝火가 폐위의 락맥손상하면 각혈, 토혈, 뉵혈. 기화상역이 극에 달하면 간풍내동 야기

 

(2) 肝陰, 肝血 失調 (간음, 간혈 실조)

가) 간혈허(肝血虛) : 혈액부족으로 간혈부족. 오랜 병으로 간혈손상, 출혈과다, 비위허약으로 기혈 생산곤란. 혈허는 간에 영향을 준다. 근맥영양곤란으로 팔다리 저리고 무감각, 관절운동 힘들 다. 頭目에 영양부족으로 현기증, 눈앞 아른거림, 눈 건조 따끔거림, 사물이 잘 안보임.

쉽게 燥로 轉化 風을 발생, 피부소양, 筋攣(근련: 근맥수축으로 굴신할 수 없다), 瘈瘲(계종: 근 맥이완으로 오그라들고 펴지며 몸을 떠는 증상)

 

나) 간양상항(肝陽上亢) : 肝陰부족으로 陽을 제약 못하여 肝 陽氣가 亢進 上逆하는 것

腎陰부족은 肝陰도 허해진다. 肝腎陰虛로 肝陽이 제자리를 못 지키거나 화나 근심으로 氣울체 하여 火가 생겨 음액을 소모 음이 양을 억제 못하면 나타난다.

현훈, 이명, 머리와 눈이 터질 듯 아프고, 얼굴 눈이 벌겋게 된다. 정서조절기능 실조 초조, 화를 잘 내며, 心이 영양을 못 받아 심계, 건망, 失眠, 多夢 증상. 肝腎陰虛로 허리 무릎 시큰 거리고 힘이 없다. 간기울결→간화상염→간양상항으로 발전한다.

 

다) 간풍내동(肝風內動) : 肝陽이 너무 항진 陽氣의 昇動이 지나쳐 기가 妄動하여 발생

虛로 인한 경우-오랜병, 熱病후에 肝腎의 陰이 소모, 양을 제어 못하여 간양상항 심하면 풍

實로 인한 경우-外感熱邪가 치성 전신의 양이 모드 勝하며 肝陽이 흥분 양기가 昇動하여 風

증상-근막의 병, 현기증, 눈앞 아찔, 사지 땡기고 뻣뻣, 졸도, 눈을 치켜뜨고 구안와사, 반실불 수, 사지마비, 근육경련, 진전증상

 

(3) 간병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 및 발생기전

* 성질이 조급하고 화를 잘 냄: 간기울결정체→간화항성→간양상역→경맥이 막혀 정서격동

* 眩暈(현훈) : 간 음혈 부족→음허양항→양기승동→청규를 요동

* 目花(목화) : 사물이 흐리게 보이거나 안 보임. 간음 간혈 부족

* 耳鳴(이명) : 개구리 파도소리, 소리가 크다. 情志울결→간기울결→火 轉化 열발생, 청규요동

* 巓頂(전정), 乳房(유방), 兩脇(양협), 小腹(소복)의 동통 : 간기울결정체→기기막혀→낙맥불통

* 관절 굴신불리, 근육경련, 진전, 마비 : 간음혈부족 근맥영양부족

* 사지마비 : 간혈부족 피부경맥 자양부족, 풍담이 경맥 속으로

 

 

5) 腎의 病機

先天之本, 精을 저장, 생장, 발육, 생식, 수액대사 주관

 

(1) 腎의 精氣 부족

가) 신정휴허(腎精虧虛): 腎精이 虛損되어 나타나는 증상. 선천적으로 부족, 후천 보양부족, 방사과도, 오랜 병이 원인. 유아기-생장발육저조, 청년기-성발육 성숙에 지장, 장년기-성기능 감퇴, 활설, 음위. 腎精부족은 골수, 혈 생성에 지장 유아는 키가 안 크고 뇌수공허로 지력 감퇴한다. 생식능력저하, 불임증, 모발 치아 약해짐, 이명, 이롱, 건망증, 다리에 힘이 없고 동작 둔활, 정신이 흐려짐

나) 신기부족(腎氣不足): 腎氣不固, 腎氣虛損으로 고섭기능 실조로 나타나는 병변. 유년기 正氣부실, 노년기 정기쇠퇴, 무절제한 성생활 등, 청력약화, 허리 무릎 시큰 나른, 소변 자주 눔, 배뇨기능 무력, 소변을 흘린다.

 

(2) 腎의 음양실조(陰陽失調)

가) 腎陰虛(신음허): 원인-오랜 병, 五志極火의 熱邪, 溫燥한 보약 과다섭취, 과도한 성생활, 타 장부의 陰虛의 발전이 신음허 야기. 증상- 골격허약 허리 무릎시큰, 腦海부족으로 어지럽고 이명, 心火항진으로 불면, 다몽, 陽萎(발기부전), 遺精, 혈부족으로 월경량 적어짐, 陽항진되어 虛熱이 혈압박하면 崩漏, 潮熱, 盜汗, 오심번열, 구갈, 面紅, 노란색소변, 대변건조, 붉은혀 진액적음, 細數脈

나) 腎陽虛(신양허): 원인- 命門火가 쇠약, 고령, 過성생활으로 신정손상→心脾陽虛로 발전

증상- 신양허손은 허리 무릎시큰 나른 통증, 춥고 사지, 발이 차다. 心陽을 온화하지 못하여 정신쇠퇴, 심혈맥 주관기능감퇴로 혈어발생, 腎陽부족은 陽萎, 불임, 새벽설사(脾陽온화를 못함), 방광기화기능실조로 수종(누르면 금방 안 나온다)

다) 명문상화(命門相火)의 亢盛: 腎陽과 같은 종류. 心火가 相火(腎火)를 끌어 움직여 相火가 眞陰을 손상시켜 腎陰이 虛해져 相火가 항성한다. 오랜 병, 온조한 보약과다복용, 過多성생활 원인

안절부절, 땀, 조급, 성기능항진, 강중, 몽유, 조루 증상, 허리 무릎 시큰, 양다리 연약무력, 도한, 오심번열, 음허내열, 음허화왕 증상 동반

 

(3) 腎病에서 흔히 보이는 증상 및 발생기전

* 허번불면(虛煩不眠), 健忘: 腎陰부족 心腎不交로 가슴답답, 안절부절, 불면, 기억력감퇴, 건망증

* 耳鳴, 耳聾 : 귀로 開竅, 隨생성 腦充養, 髓海공허하면 현훈, 이명(매미, 퉁소)

손으로 누르면 경감되면 허증(신과 관련), 더 심해지면 實證으로 간과 관련

* 氣喘(기천) : 폐 호흡, 신 납기 주관, 납기기능 상실 기가 위로 떠오른다. 호기는 多 흡기 부족

* 陽萎(양위), 滑精(활정), 早漏(조루), 遺精(유정) :생식기능 쇠약

* 요냉산통(腰冷酸痛), 하지위약(下肢痿弱) : 허리는 腎의 府, 신은 骨주관, 신양기허손, 腎精부실

* 소변불리, 요폐(尿閉), 수종(水腫) : 신양허손 기화기능 실조,

* 빈뇨(頻尿), 유뇨(遺尿) : 신기허쇠, 封藏(봉장) 고섭기능 실조 방광괄약기능 부조

* 골증조열(骨蒸潮熱) : 腎陰부족은 肺陰虛損, 肺腎陰虛로 음이 양을 제약 못하여 虛熱 내부발생

 

 

2. 육부병기(六腑病機)

 

1) 膽의 病機

담즙 저장과 배설, 脾胃의 腐熟과 운화를 돕는다. 간에서 생성, 소설기능에 의해 분비와 배설된다.

情志損傷으로 소설기능 이상, 중초에 濕熱로 肝膽에 熱울결 火로 변해 담즙배설 실조→간기울결 심화, 비위 운화기능 저해, 담즙 역류시 위기상역→쓴물 토하고, 肌膚로 넘치면 황달증상

* 口苦(구고) : 입 안이 쓰다. 熱邪가 담을 훈증 담기상역 입으로 넘기기 때문

* 脇痛(협통) : 오른쪽 옆구리에 위 양옆구리 순행, 경맥 阻滯(조체)되면 옆구리 그득, 아프다.

* 黃疸(황달) : 간담의 소설기능 실조시 혈맥이 역류 피부로 넘친다.

 

2) 胃의 病機

수곡의 수납, 腐熟하여 하강시킨다.

(1) 胃氣虛(위기허): 음식실조의 지속적 반복, 脾氣虛로 운화기능실조, 선천적 허체질, 오랜 병

부숙기능 저하 식사량 줄고 식욕부진 더부룩, 오심구토, 트림, 딸꾹질

(2) 胃寒(위한) : 陰寒이 위에 응결 어체, 寒邪침입으로 陽氣 손상하면 虛寒症, 陽氣억제되면 實寒 症. 寒邪 위에 응결 어체되면 기순행이 막혀 위완부 통증. 寒은 實邪로 따뜻한 것 만나면 덜 해진다. 목이 마르지 않으면 實證의 胃寒症이다. 병이 지속 반복되면 허증으로 된다.

위기허한은 온화불량, 수음생성하여 위완부 물소리 맑은 물을 토한다. 양기 부족은 허증, 체 내 수음정체는 실증으로 허에 실이 겸한 증후로 발전

(3) 胃熱(위열) : 위에 火熱이 왕성하여 발생, 熱邪침범, 술, 기름진 것, 매운음식으로 인한 火熱발 생, 기체, 어조, 담습, 식적 등의 울결로 열로 轉化 발생, 肝膽 火 橫逆하여 胃 침범, 위열은 수곡부숙기능 항진으로 쉽게 배가 고파진다. 화열이 진액소모하면 갈증, 찬 음식을 좋아하고, 내부 울결되면 변비. 위하강을 방해 膽熱을 야기 메스껍고 쓴물을 토한다. 胃洛脈은 잇몸 연 결 이가 아프고 붓거나 피가 난다. 胃濁氣가 오르면 입에 역한 냄새, 토혈증상, 위음허 초래

(4) 胃陰虛(위음허) : 胃陰液虛損, 受納腐熟기능 감퇴, 全身精血부족, 오랜 병 후 熱邪가 음액손상 발생, 위는 건조를 忌하고 윤택을 好. 위음 고갈은 수곡부숙이 極弱해진다. 설질이 붉고 설태 가 없고, 혀가 반질거린다. 虛痞(허비:더부륵), 헛구역, 口糜(구미:붓고 헌다) 냄새

(5) 胃病에서 나타나는 증상 및 그 발생 기전

* 트림, 딸꾹질, 오심, 구토 : 위 하강기능 실조, 胃氣上逆

* 消穀善饑(소곡선기) : 위열로 부숙기능 항진, 쉽게 배가 고파진다.

* 納呆食少(납매식소) : 위기허약으로 부숙기능 감퇴 하강실조 식욕부진 식사량 준다.

* 胃脘脹痛(위완창통) : 情志울결로 宿食의 정체, 하강실조, 氣機가 막혀 더부룩하고 아픈 증상

 

3) 小腸病機

소화음식물을 소화와 흡수, 수곡정미를 脾로 보내고 조박과 수액을 대장이나 방광으로 보낸다.

소장의 기능실조는 脾의 昇淸, 胃의 降濁기능실조에 귀속시킨다.

* 泄瀉(설사) : 泌別淸濁(비별청탁)기능 실조로 대변에 水氣가 뒤섞여 내려온다.

* 尿赤灼痛(요적작통) : 소변이 황적색, 배뇨시 작열감. 心熱이 경맥을 따라 소장으로, 소장열이 방광에 영향 尿頻, 尿急, 尿痛을 초래한다.

 

4) 大腸病機

소장의 내용물 접수, 잉여수분 흡수, 대변 생성 체외배설 傳導糟粕(전도조박)기능

* 泄瀉(설사) : 食滯원인-더부룩 통증, 방귀 설사 냄새 심하다. 寒濕원인-물같이 묽고 심한 복통, 설사에 하얀 점액질, 中氣下陷,腎氣不固원인-설사 지속적, 탈항, 大便失禁

* 便秘(변비) : 氣虛로 대장 추동기능 무력, 조열로 진액이 건조 대장의 傳導가 원활하지 않음.

* 痢疾(이질) : 복통, 대변횟수 늘어나고 적백색의 농혈 下痢, 뒤가 무지륵한 증상

濕熱, 濕濁이 대장에 쌓여 腸絡을 손상 氣滯血瘀하여 발생

* 痔(치) : 치질, 무절제 과식, 맵고 기름진 음식 과다섭취로 습열이 항문으로, 多産, 便秘로 항문 에 혈맥이 막혀 어혈과 습열이 오래되면 치질발생

* 腸癰(장옹) : 습열이나 어혈이 뭉쳐 기혈순환에 장애, 아랫배 붓고 누르면 아프고 땀, 열, 오한,

 

5) 膀胱病機

소변저장 배설, 기화기능실조가 원인, 腎의 기화기능 실조와 관계, 배뇨이상으로 증상

* 배뇨곤란, 尿閉(요폐) : 寒濕濕熱邪氣 침입, 腎陽腎氣虛損 腎기화기능 실조로 방광기화기능 실조

* 尿頻(요빈), 尿急(요급), 尿痛(요통) : 濕熱邪氣가 방광으로

* 遺尿(유뇨), 小便失禁(소변실금) : 腎虛로 고섭기능 실조 방광의 구속기능 실조 자각를 못하거나

소변빈식(小便頻數)하고 자제를 못한다.

 

6) 三焦病機

上中下焦, 氣 진액이 다니는 통로, 기의 승강출입 진액의 수포배설은 삼초의 원활운행에 이루어짐

(1) 삼초기기의 不利 : 병변부위에 위치한 장부의 氣機不利로 표현, 上焦- 폐선발숙강, 心氣 혈행추동불리, 中焦- 脾昇胃降기능실조, 肝膽疏泄기능 실조, 下焦- 臟비별청탁, 전도조박기능 실조, 腎 膀胱의 氣化와 昇淸降濁기능 장애, 기체증상은 답답하고(悶) 더부룩하고(脹)아픈(痛) 증상이다.

(2) 진액운행의 不暢 : 삼초가 통로, 진액의 추동조절은 肺,脾,腎의 협조로 완성, 濕,淡,水腫발생

 

3. 奇恒之部의 病機

 

1) 뇌의 병기 : 뇌는 髓가 모여 형성 髓海, 腦髓는 腎의 精氣가 변화생성, 腎精氣虛損→精이 髓생성실조→髓虛, 뇌영양공급실조→腦髓공허→뇌기능 실조초래 정신의식 쇠약, 지력감퇴, 시력 청력 언어활동 둔화, 지체불편 연약, 뇌기능은 기혈진액수곡의 충양으로 의존 오장의 생리실조하면 뇌생리기능 실조한다. 뇌는 모든 양기가 모이는 곳으로 양기상승 못하면 頭目眩暈, 耳目失聰 증상

 

2) 髓와 骨의 병기 : 髓는 뼈 속 骨腔에 위치, 骨髓, 脊髓, 腦髓를 포함. 골격영양 생장발육, 腦髓充養, 정신의식활동 발휘, 腎精부족, 수곡정미결핍→髓생성실조→髓병변발생, 골격연약, 굴신을 못한다. 정신의식쇠약, 골의 병기는 골 영양 실조하면 연약무력, 휘는 변형, 오래서있지 못하거나 다리가 떨린다. 과로 腎손상, 腎精허약, 熱邪로 陰液을 졸여 腎精약화, 命門相火의 항성으로 신정이 손상되면 골이 마르고 수가 줄어들어 骨痿(골위:저리고마비)의 병증 발생

 

3) 脈의 병기 : 기혈이 운행하는 통로. 기혈불통, 영혈이 맥상을 벗어나는 병리. 진액고갈로 맥 영양실조, 淡濁으로 氣機불통, 寒邪로 응체 瘀阻(어조)되어 맥도가 불리 기체혈어가 된다.

기혈 응체부위 동통, 창통, 마비증상, 위축, 괴사. 맥은 영기을 둘러싸 영혈이 경맥탈출을 방지한다. 기의 고섭, 비의 통혈작용에 발휘, 비기허손, 원기부족은 혈 통섭실조로 출혈증상

 

4) 女子胞의 병기 : 자궁, 월경, 임신, 태아발육.

(1) 氣血失調(기혈실조) : 여자는 血이 근본, 혈의 작용은 氣에 의지 발현, 기혈이 조화로워야

자궁의 기혈부족- 脾胃허약→氣血생산부실→충임맥 기혈감소→자궁으로 가는 기혈부족

氣虛로 血 統攝 실조하면→충맥 고섭작용 실조→월경주기연장 양이 지나치게 많고, 붕루현상

倒經(도경)- 火盛→氣上逆→血이 火氣를 따라 치솟음 월경 시 코나 입으로 피가 나온다.

氣滯, 血瘀, 기혈부족, 양기부족으로 子宮虛하고 차면 월경이 늦고 색이 묽어지고 소복부가 빈 듯한 느낌, 폐경 증상. 寒濕이 자궁에 정체하면 痛經, 閉經, 백대하, 濕熱이 정체하면 황적색 대하, 붕루

(2) 심, 간, 비, 신의 기능실조

* 심의 기능실조가 자궁에 미치는 영향

과도한 사려→心손상→心血소모→營血부족→임충맥 虛→血海가 영양실조→월경불순, 폐경, 불임

과도한 마음→心陰소모→心火亢盛→相火→血海요동→월경과다, 붕루

* 간의 기능실조가 자궁에 미치는 영향

肝氣울결→자궁혈액순활 실조→월경통, 폐경, 징가(癥痂:아랫배 속에 덩어리) 징-고정, 가-이동

크게 怒→肝을 傷하고 昇泄(승설)과도→월경이 앞당겨짐, 양이 많아지고, 코피, 토혈 증상발생

* 脾의 기능실조가 자궁에 미치는 영향

음식부적절 피로 권태 근심→脾손상→기혈생산 원천부족→혈해공허→월경량 적어지고 월경불순

脾氣衰→혈통섭실조→월경과다, 붕루. 脾陽 운화실조→濕濁內生→묽은 대하

中氣下陷→자궁하수, 자궁탈수

 

(3) 衝脈, 任脈 실조

충맥은 血海, 임맥은 임신주관. 충임맥은 肝腎과 관계, 先天 腎精腎氣부족, 後天 脾胃결손 원인

寒邪→기혈응체, 熱邪→혈 핍박 망행, 濕熱→경맥기혈 불리, 情志울결→기체혈어, 대怒→氣 逆亂, 化動, 혈액운행 혼란, 勞倦과도→氣손상, 氣虛로 혈 통섭실조

모든 것이 기혈부조화로 운행실조→충임맥실조는 자궁기능 문란 초래한다.

 

제2절 경락병기

질병의 발생, 발전과정 중에 경락의 생리기능이 실조된다. 경락병기는 기혈을 운행, 연결, 조절하는 제반 기능의 실조를 말한다.

 

1. 경락기혈의 성쇠

1) 경락기혈의 偏盛, 偏衰

한쪽이 盛하면 絡屬된 장부에 영향을 미쳐 기능항진을 촉진시켜 경락 장부의 협조와 평형을 파괴 발병한다. 편쇠는 絡屬된 장부의 생리기능을 감퇴를 초래 발병한다.

 

2) 경락기혈의 쇠갈(衰竭)

經氣가 고갈되거나 끊어져 氣血도 이를 따라 衰竭해 병정이 위중, 생명에 지장을 초래한다.

* 태양경 經氣가 끊어질 때: 눈을 치켜뜨고 角弓反張, 사지경맥이 땅기거나 늘어져 창백,絶汗,사망

* 소양경 經氣가 끊어질 때: 귀가 안들리고 전신 골절이 늘어져 눈동자를 돌리지 못하면 하루 반 나절에 사망. 안색이 푸른색에서 흰색으로 변하면 죽는다.

* 양명경 經氣가 끊어질 때: 입과 눈이 땅기며 일그러지고 잘 놀라며 헛소리, 안색은 황색, 경맥 상하부에 邪氣가 盛하다. 肌膚마비 무감각하면 사망

* 소음경 經氣가 끊어질 때: 안색이 검어지고, 이가 길어 보이고 때가 낀것 같다. 복부창만으로 상하가 막혀 곧 사망

* 태음경 經氣가 끊어질 때: 복부창만, 호흡곤란, 트림 구토, 기가 솟고 얼국 붉어진다. 안색이 검 어지고 피부 모발이 거칠어지면서 죽는다.

* 궐음경 經氣가 끊어질 때: 인후가 건조, 소변이 잦고, 가슴 답답 아절부절, 혀가 말리고 고환이 오그라들면서 죽는다.

 

2. 경락기혈의 운행실조

1) 경락기혈의 운행조체(運行阻滯)

外邪침입, 情志內傷, 골절 등 外傷을 입으면 경락흐름이 기체혈어의 병리변화 발생. 경락중 기혈조체는 낙속된 장부, 순행부위의 형체, 모든 竅에 영향을 준다.

外感寒邪 표층침입→淺表(천표) 낙맥의 기혈조체→동통.

風寒邪가 수태음폐경 침입→經氣不利→肺氣上逆→해수, 氣喘(기천)

氣가 머물러 흐르지 않는 것은 氣가 먼저 병이 된 것, 血이 막혀 濡養하지 못하면 血이 후에 병이 된 것이다. 먼저 발병을 是動病(시동병), 나중에 발병하는 것을 所生病(소생병)이라 한다.

 

2) 경락기혈의 운행역란(運行逆亂)

경락 중 기혈이 승강의 방향과 속도가 문란해져 일어난 병리변화, 장부기능실조로 인해도 逆亂한다. 양음기가 순조롭게 만나지 못해 厥逆(궐역:經氣上逆) 병증발생.

 

 

 

 

 

 

 

 

 

육경기혈의 逆亂 임상소견

경맥

임상소견

태양

뒷목과 머리가 무겁다. 보행이 곤란할 정도로 어지러워 심하면 쓰러지나

인사불성이 된다.

소양

돌발적인 難聽, 볼의 발열, 腫脹, 협부의 통증, 사지운동 장애

양명

癲狂(전광)증상이 나타나고 마구 돌아다니고 망언망행을 일삼는다.

안색은 홍조를 띄고 발열의 기능항진 증상이 나타난다.

태음

복부창만, 설사난 토사곽란 등 배변습관 변화, 식욕부진, 먹으면 토한다.

소음

복만심통(服滿心痛), 口渴(구갈), 소변색이 진한다.

궐음

소복창통(少腹脹痛), 大腹脹滿, 대소변不利, 전음위축(前陰萎縮), 腫脹,

정강이내측부위의 열감

 

 

3. 경락병증

 

1) 수태음 폐경의 병증

① 氣가 순환되지 않는 증상

② 폐결핵, 기관지염, 천식, 해수, 각혈, 인후염, 나력(瘰瀝) 등이 나타난다.

③ 대장과 표리로 腸下血, 변비, 설사, 하복통, 항문동통의 병증

④ 경락유주 상 肩에서 拇指로 가는 경락이상, 흉민, 견배통, 무지통, 장심열 증상

⑤ 鼻로 開竅하여 뉵혈, 비염, 축농증 등 비병 일체의 병증

⑥ 피모를 자양 피부병, 癮疹(은진:두드러기,홍역), 汗出과 관련

 

2) 수양명 대장경의 병증

① 치통, 口瘡, 코피, 인후통, 견전상비통(肩前上臂痛), 식지운동장애, 경맥부위에 발열 통증 염증

② 폐→위 근처→대장으로 유주하여 전도조박기능 상실 배가 끓고 설사 實熱, 황색점액 대변 변 비, 식욕부진, 구토증상

③ 氣虛하면 탈항, 습열이 모이면 痔漏(치루)와 腸癰(장옹)유발

 

3) 족양먕 위경의 병증

① 얼굴부분- 구안와사, 코피, 입술이 헐고, 목이 붓고 아프다. 實熱이면 面熱, 面腫, 目痛, 鼻乾함

② 얼굴→젖가슴→기충→下肢 : 경락부위 腫痛, 허하거나 냉하면 여위고 차다.

③ 胃陽氣가 지나치면 높은데 올라 노래, 헛소리, 身熱하면 옷을 벗고 달린다.

④ 病邪침입하면 소화불량, 트림, 하품, 기지개, 구토, 服滿, 心痛, 변비, 심하면 징가,신경성위장염

 

4) 족태음 비경의 병증

① 혀뿌리 뻣뻣, 음식먹으면 넘어오거나 트림, 몸이 나른 무겁고, 움직일 수 없고, 오래 서 있지 못한다. 종아리 넓적다리 붓고, 시리고, 엄지발가락 못 움직인다.

② 측흉부→혀뿌리 : 흉척협제통, 혀뿌리 뻣뻣, 양턱에 통증

③ 胃에 낙속하므로 비위승강 떨어져 受納腐熟運化기능실조, 위완통, 오심,구토, 식사량감소, 황달

④ 濕을 싫어해 부종 腫滿, 實證에서 소변불리, 요폐 증상

 

5) 수소음 심경의 병증

① 心의 苗은 舌, 인후 건조, 혓바늘, 혀끝 갈라고 언어장애, 눈 안쪽 빨개짐

② 심장 벌렁, 저리고 아프며, 피부 소양증, 瘈瘲(계종), 뉵혈, 唾血(타혈)

③ 정신 흐려지고, 헛소리, 건망증, 슬퍼함. 實熱 지나치게 웃고 두통 심신번민 증상

④ 가슴→겨드랑이→소지 : 흉통, 심통, 늑통, russo통

⑤ 심폐가 호흡관장 : 少氣, 한숨, 딸꾹질, 호흡곤란

 

6) 수태양 소장경의 병증

① 목구멍 아프고, 귀가 먹고, 뺨이 붓고, 턱 밑이 부어 고개를 못 돌린다. 팔 아파서 들지 못하고, 고환이 당기고 어깨 빠지는 것 같고, 목 턱 아래, 어깨죽지뼈, 위 팔뚝, 팔 뒤 가장자리 통증

② 病邪침입하면 腹脹, 설사 배꼽주위 아프다.

③ 소변 방울방울 떨어짐, 소변색 붉고 탁하고 앙금 가라않는다. 소변불통

 

7) 족태양 방광경의 병증

① 머리가 무겁고 아프고, 눈이 빠지는 듯 쑤시고 아프고 뒷덜미가 당긴다. 고환 당기고 아프며, 등뼈등줄기, 허리가 쑤시고 아프다. 고관절 구부리기 힘들고 오금이 뭉치고 장딴지가 터지듯 아픔

② 신과 방광에 연결, 소변불통, 음경 음낭이 붓는다. 정력감퇴 대하

③ 풍한사가 방광경으로 들어와 피모에 작용 寒熱과 감기 유발

 

8) 족소음 신경의 병증

① 등과 허리, 척추뼈 아프고, 허벅지 내측 뒷부분 쑤시고 아프고 저리고 시리며, 발이 시리고 저리고 힘이 없다. 입안에 열, 입과 혀가 마르고, 목 속이 붓고 아프며 발바닥에서 열이나고 아프다.

② 신기허로 압기상실 氣상역으로 呼氣는 많고 吸氣가 적어 숨가쁘고 기침, 가래 혈담 발생

③ 경락 심폐를 지나 腎水 습윤 못하면 心腎不交로 가슴 답답 심통이 온다.

④ 耳로 개규 이명, 이롱, 이가 흔들리고 충치, 부서진다. 腎에 實熱하면 이가 검어지고 메마른다.

 

9) 수궐음 심포경의 병증

① 얼굴 붉고 겨드랑이 임파 붓고 팔뚝 앞에서 팔꿈치까지 저리고 굴신 어렵다. 손바닥 뜨겁다.

② 가슴 답답, 아프고 심장이 뛰며, 심장성 천식 발생

③ 자주 웃는 정신이상, 하혈, 下肢軟, 頭頸剛直, 目赤, 血尿, 대소변 불통

 

10) 수소양 삼초경의 병증

① 목과 얼굴, 뺨이 붓고 아프고 눈 바깥쪽이 아프고 耳鳴, 귀가 안들리고 삼초경 지나가는 곳이 아프고 넷째 다섯째 손가락움직임이 원활하지 못하다.

② 決瀆之官으로 피부 하복부 전신에 부종, 헛배, 아랫배 딴딴히 부르며 소변이 급히 나오고 자주 나온다.

③ 焦는 따뜻하다는 뜻. 虛하고 冷해지면 떨리고 춥다.

 

11) 족소양 담경의 병증

① 옆머리 눈꼬리가 아프고, 결분이 붓고 아프고, 겨드랑이 붓고, 가슴 옆구리 아파서 돌리지 못하고 기미, 피부에 윤기 없고 먼지 낀것 같고 귀가 안 들린다. 넓적다리 외측 종아리 아래, 바깥 복사뼈 앞 뼈마다 아프다. 넷째 발가락 아프고, 기혈역조, 마비감, 시리고 저리다.

② 기 승발 못하면 한숨쉬고, 허하면 寒熱往來, 風邪가 성하면 惡寒, 신물 황색담즙 토하고 황달

③ 담즙이 乾澁(건삽)하면 筋 무력, 實熱하면 瘈瘲. 근맥, 관절무력 경련 종통은 간담경과 관계

④ 膽虛눈 눈이 흐려지고 耳聾, 입안이 쓰고 임이 자주 나온다. 咽乾, 咽腫, 癃閉

⑤ 가슴 벌렁벌렁, 잘놀라고 불면, 두통, 현훈, 癲癎(전간:지랄병)

12) 족궐음 간경의 병증

① 머리 아프고 어지럽고, 목마르고, 고환당기고 허리 아프다. 얼굴 티끌 빛을 잃는다.

② 脾土를 剋 신경성위장염의 소화불량, 胃悶(위민), 구토, 설사

③ 肝木風으로 중풍 마비, 경련 등 풍의 총칭

④ 拇指, 발목, 슬관절 등 관절 근맥의 염좌종통

⑤ 남자의 性器病, 기능저하, 疝症, 소변 등 여자의 자궁, 월경, 음부소양, 종통

⑥ 흉협만민통, 심통

⑦ 肝實하면 怒 빈혈, 신경성과로, 신경성위장염 수반된 두통, 현훈, 노이로제, 운의 피로, 頸强(경강:목덜미) 등 현대인의 발생 질병은 肝火 원인


 

0 Comments     0.0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