臟 象 學 (장상학)

홈 > 한의학자료 > 대체의학고급자료 > 진단학
대체의학고급자료

臟 象 學 (장상학)

50 민족의술대표(보정) 0 670 12 0

臟 象 學

 

제1장 개론

 

1. 장상학의 기본개념

 내장은 인체 내부에 있어, 외부에서 직접 관찰할 수 없어 체외에 나타나는 현상과 증후를 통해 유추해야 한다. 『臟象』은 내장의 형태구조와 외부로 나타나는 현상과 증후와의 상관관계를 말한다. 『臟象學』은 장부와 그에 상응하는 외부기관이나 조직에 나타나는 현상과 증후를 통하여 체내 장부의 생리기능, 병리변화 및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2. 장상학의 기본내용

개 념

구분

분류

세부 항목

기 능

  臟腑조직과

  外部기관

  사이의 관계

臟腑

조직

五臟

 肝, 心, 脾, 肺, 腎

 물질생성 정기저장, 藏精氣

六腑

 膽, 小腸, 胃, 大腸, 膀胱, 三焦

 수곡을 담고 대사물질 전달, 傳化物

奇恒之部

 腦, 髓, 骨, 脈, 膽, 女子胞

 형태는 腑, 기능은 臟

外部

기관

五官

 耳, 目, 口, 鼻, 舌

 장부의 생리기능과 병리변화를

 반영한다.

五體

 皮毛, 肌肉, 筋, 骨, 脈

 氣,血,津液과

 臟腑와의 관계

 기,혈,진액의 생성분화와 운화분포는 타 장부의 기능활동을 통한 협조조화로 완성

 장부의 각종 기능활동은 반드시 기, 혈, 진액을 물질기초로 삼아야 한다.

 

 

3. 장상학의 형성과 발전

 

1) 古代의 해부학 지식

   은허 갑골문자, 『史記 편작창공열전』, 『內徑』, 『難經․四十二難』 東漢의 華陀

2) 생활관찰

3) 반복된 임상경험

4) 고대 철학사상의 흡수

   음양 오행학설의 이론으로 이론 체계완성

 

 

4. 장상학의 주요특징

 

1) 五臟으로 중심으로 하는 整體觀

 

 (1) 장과 장의 기능 활동은 상대적인 조절과 협동에 참여 조화를 유지한다.

  기혈운행:心(혈맥주관)과 폐宗氣에 의한 공동작용 + 脾(生化,統攝), 肝(疏泄,臟血), 腎(滋養) = 완성

 

 (2) 臟과 腑는 상호 表裏를 이루며 경맥의 屬絡관계이다.

 

 (3) 오장은 외부 官竅, 皮肉 등의 조직기관의 변화에 內臟精氣의 성쇠를 반영한다.

     五官은 五臟의 氣가 나타나는 곳이다. 『內徑』

 

 (4) 12경맥, 기경팔맥, 支脈, 別絡, 孫絡, 浮絡으로 장부와 형체조직(四肢百骸, 五官九竅, 筋肉皮毛)       을 연결한다.

 

 (5) 精, 氣, 血, 津液은 臟腑와 조직사이를 연계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系統

五臟

六腑

五主

五竅

五華

五志

五神

五液

간계통

淚(눈물)

심계통

小腸

血脈

汗(땀)

비계통

涎(군침)

폐계통

大腸

憂.悲

涕(콧물)

신계통

膀胱

骨髓

唾(침)

 

 

2) 天人相應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동일한 근원과 동일한 구조의 氣機가 상응하는 유기적 통일체로 인식한다.

 “사람은 天地의 氣로 生하고 四時의 法으로 形成된다.” 『內徑』

 오행론: 五時, 五方, 五氣, 五華와 五臟을 연계, 春生, 夏長, 長夏化, 秋收, 冬藏. 밤과 낮(음양)

 

3) 恒動觀

 모든 사물은 끊임없이 운동 변화한다는 動態的 관점에서 생명현상을 파악한다.

 인체 생명활동의 動態는 氣의 昇降浮沈을 기본으로 하는 氣機의 기초가 된다.(氣의학의 기본)

 

4) 象을 관찰하여 내장의 생리활동 규율을 파악한다.

 以表知裏(이표지리): 외부에 나타나는 현상을 개괄 객관화하여 생명의 본질과 현상을 인식하는 것

 表를 추론하여 裏를 아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內臟의 활동규율을 파악한다.

 내부의 것은 외부로 나타난다. 장상학의 臟腑는 해부학적 개념이 아니라 어느 한 계통의 生理와 病理를 포함한다.

 

【복습문제】

 1) 장상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장상학의 주요 사유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2장 氣 ․ 血 ․ 津液

  氣

無形

機能

推動, 溫煦작용

  氣虛→陽虛로 발전

  精, 血, 津液

有形

物質

滋潤, 營養작용

  血虛→陰虛로 발전

 

제1절 氣

 

1. 氣의 기본개념

정미물질

 수곡의 정기가 化生

 營氣, 衛氣, 宗氣

 인체 생명활동 및 조직

 기관 활동의 원동력

생리기능

 장부 경락의 생리기능

 心氣, 肺氣, 脾氣, 胃氣, 腎氣

 

1)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

 莊子 : “천하는 단지 하나의 氣일 따름이다.”

 無形의 氣, 有形의 氣 : “기가 모이면 형체를 이루고, 기가 흩어지면 형체가 없어진다.

 

2)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물질

『內徑』 “人以天地之氣生, 四時之法成”, ”天地合氣, 命之曰人“

 

3) 인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물질

하늘은 五氣를 공급하고, 땅은 五味를 공급한다. 五氣는 코로 들어와 心, 肺에 저장, 五味는 腸, 胃에 저장되어, 收穀의 氣와 五臟의 氣가 서로 도와 津液을 化生, 생명활동을 왕성하게 한다.

 

 

2. 氣의 생성

 인체의 기 = 선천정기 + 후천 수곡정기 + 자연계의 淸氣

先天精氣

 부모의 生殖之精

 인체구성과 생명유지의 근본

 생장과 발육 생식주관

腎저장기능

後天精氣

 收穀精微, 穀氣

 脾胃 運化기능으로 정미물질 化

 胃→肺→五臟六腑

脾胃운화기능

淸氣

 자연계의 청기

 폐의 호흡작용

 穀氣 + 淸氣 = 宗氣

肺 호흡기능

 

 

3. 氣의 생리기능

구분

작용

病理

 ① 推動작용

 *혈액과 진액의 생성 순환 흐름을 추진한다.

 *조직기관이 정상생리활동을 유지하도록 추진

 *血液순환이 늦어지면 瘀血발생

 *津液정체는 痰,濕,水飮 형성

 ② 溫煦작용

 *조직기관과 혈액 진액을 따뜻하게 하는 작용

 *실조되면 몸이 차가와 진다.

 *氣가 鬱結되면 열이 난다.

 ③ 固攝작용

 *血, 津液, 精液 등 액체형태물질의 유실방지

 *衛氣失→自汗,大汗,小便失禁,多小便,   *遺精, 早泄, 滑精

 *胃下垂, 子宮下垂, 脫肛

 ④ 防禦작용

 *肌表보호, 外邪 침입을 방지

 *기 부족 손실되며 외사가 체내침입

 ⑤ 氣化작용

 *精, 血, 津液의 신진대사와 상호간의 轉化

 *정미물질-수곡정기→氣血

 *水液精氣→津液→땀, 소변. 조박→배설

 *수곡정기를→營氣,衛氣+淸氣→宗氣로 轉化

 *선천정기+수곡정기→元氣

 *淸氣→에너지로 사용후 濁氣로 轉化

  →호흡, 땀구멍으로 배출

  이모든 작용이 기화작용에 의한다.

 ⑥ 營養작용

 *氣는 精微물질로 조직기관에 필요로 하는

 영양을 공급한다. 조직은 氣를 원료로 자신의

 구조를 갖추고 활동의 에너지를 충족한다.

 *脾胃허→운화력弱化→수납소화실조

  →수곡정기 생산부실→氣영양결핍

  →신체 쇠약해진다.

 

*氣의 운동은 昇降出入이 모두 평형을 이루어야 체내에 각종 陰液을 固攝할 수 있고, 元氣를 생성하여 衛氣로 체표를 보호 외사침입을 방어할 수 있다.

 

 

4. 氣의 운동형식

 

『氣機』: 기의 운동, 운동형식은 昇降出入의 네 가지 형태

 營氣→맥의 내부, 衛氣→맥의 외부, 元氣→三焦를 통하여, 肝脾氣→上昇주관, 肺胃氣→下降주관

 

 昇降出入 : 昇→아래에서 위, 降→위에서 아래, 出→내부에서 외부, 入→외부에서 내부

호흡운동

 肺(昇)→ 인후(昇)→ 코(出)→ 외부

 외부(入)→ 코(降)→ 인후(降)→ 肺

진액

수송배포

 胃(昇)→ 脾(昇)→ 肺(昇)→ 오장경맥

                  肺(降)→ 방광

 폐(내부)에서 精氣를 皮毛(외부)로 내보는 것은

장부

생리활동

 脾氣는 , 胃氣는 下降,

 腎精(下焦)의 生化로 형성된 元氣는 삼초를 따라 전신으로 산포()

 腎의 納氣작용: 폐의 기를 단전으로 보내  운동방식

 탁기는 소변으로 기화 방광을 통해 외부로 배출()

 

* 인간의 생명활동은 氣의 승강출입운동이다. 肝昇, 肺降, 脾昇, 胃降

* 肝과 脾는 주로 상승, 肺와 胃는 주로 하강운동을 하여 장부는 특성에 맞는 한 가지 운동에 치중

 

 氣機失調 : 氣의 昇降出入운동이 균형을 잃는 것 → 氣滯, 氣逆, 氣陷, 氣脫, 氣閉

구분

증상

처치

氣滯(기체)

 기기가 원활하지 못하고, 지체 소통되지 못하는 상태

 소통시켜준다.

氣逆(기역)

 기가 지나치게 上昇 또는 충분히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

 기를 하강 시켜준다.

氣陷(기함)

 淸氣가 아래에 있어 상행하지 않는 상태로 氣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아 발생

 기를 상승 시켜준다.

氣脫(기탈)

 기를 내부에서 지켜지지 못하고 대량 손실되는 상태

 고섭해야 한다.

氣閉(기폐)

 기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막혀 뭉쳐있는 상태

 기를 풀어 빨리 내보낸다

 

5. 氣의 분포와 분류

분류

특징

생성과 분포

주요기능

元氣

생명활동의 원동력,

 原氣, 眞氣

*腎의 精氣에서 化生되며 동시에 후천의

 수곡정미의 자양을 받아야 한다.

*元氣는 血,津液을 매개물로 三焦를 통

 해 전신에 산포 생리활동을 촉진한다.

*생장, 발육, 생식, 생리활동 추진

*陽元氣:기화, 온후, 흥분, 운동

*陰元氣:자양, 成形, 안정, 윤활

*전신의 음양은 腎의 정기가 원천

宗氣

흉부(膻中)에 쌓인 氣(氣海)

*淸氣(호흡)+수곡정기(소화흡수)=宗氣

*폐의 호흡기능 비의 運化기능의 합작

*虛里:종기가 모이는 곳-왼쪽가슴아래

①氣道를 통해 호흡한다.

②心脈을 관통 기혈을 운행

*호흡, 언어, 목소리, 지체운동,

 근골강약은 종기의 작용

營氣

혈맥 중에 흐르는 氣

(營陰)

*수곡정미에서 청정한 기로 맥중에 운행

*중초→수태음폐경……→족궐음간경

 →수태음폐경 끊임없이 순환

*혈액을 구성하는 주요성분

 진액과 결합 붉은 혈액생성

*전신에 영양을 공급한다.

衛氣

맥의 외부를

흐르는 氣

(衛陽)

*수곡에서 화생한 날랜 氣(悍氣)

*급하고 매끄러워 피부를 돌며 근육을  

 경계순행 황막을 따뜻하게 한다.

*신체표면보호 외사침입을 막는다.

*장부, 기육, 피모를 온양한다.

*주리를 여닫고 땀분비 조절통제

臟腑의 氣

經絡의 氣

元氣, 宗氣

에서 파생

*선천정기, 청기, 수곡정기를 재료로 폐, 비위, 腎의 공동작용으로 化生

*에너지원, 장부조직 구성재료, 장부의 精을 생성 저장하여 필요시 사용

 

 

 

제2절 血

 

1. 血의 기본개념

* 붉은 색의 액체로 脈(혈액이 운행하는 통로)을 따라 안으로 臟腑 밖으로 사지관절 곳곳에 도달하    여 영양을 공급하고 滋潤作用을 한다.

* 부족하면 국부가 창백해지고 통증을 느끼며 지속되면 기능상실이 되고 심하면 조직괴사가 된다.

 

2. 血의 생성  ( 血 = 營氣 + 津液 )

수곡정미에서 생성

   혈은 수곡정미에서 化生, 脾胃는 혈액생성의 원천이다.

營氣는 心脈에 들어가 血液을 化生한다.

   營氣는 혈액의 주요 성분이며 진액을 맥중으로 흡수 혈액을 화생한다.

精이 化生하여 혈이 된다. (精血同源)

   氣(精華) → 腎(精) → 肝(淸血)

* 혈은 수곡정미, 營氣, 精 등이 물질기초가 되어 脾, 胃, 肺, 心, 腎의 공통작용을 통해 생성된다.

* 血虛證 치료원칙 : 영양분의 섭취와 비위의 운화기능에 중점, 腎精을 보충 腎의 蒸騰氣化를 강화

3. 혈의 생리기능 : 전신을 영양하고 자윤한다.

혈의 생리기능

혈액 충만

혈액 부족

 臟腑․形體․官竅 등 조직

 기관의 생명활동을 유지

 안색 붉고 윤기, 피부모발

 윤택, 근골,기육,장부 튼튼

 안색 창백, 피부모발 거칠다. 근골연약,

 사지경련, 마목, 기육수척, 장부쇠약

 운동기관과 감각기관

 을 유양

 감각, 운동기능 정상

 현기증, 시야흐림, 눈침침, 이명, 사지마비

 무력, 근골 굥련, 감각운동기능 이상초래

 정신활동을 유지하는

 물질적 기초

 정신활동 왕성,

 神志가 원활

 神經衰弱, 健忘症, 不眠, 多夢, 煩燥, 驚悸,

 譫妄, 昏迷, 정신실조증

 

4. 혈의 운행 : 혈의 운행은 五臟과 관계가 있다.

五臟

주관

역할

비고

血脈

 혈액운행의 기본 動力, 脈은 통로.  

 氣 추동작용 필요

氣,呼吸

 血을 宣發로 外部 上部로, 肅降으로 內部 上部로 확산

 심장을 도와준다.

疏泄

 氣機를 원활하게 하여 운행을 순조롭게 한다.

 여분의 血 貯藏

統血

 固攝작용으로 脈外 逸脫을 막는다.

 오장육부혈에 영향

陰陽

 음양조절로 평형을 이루어 체온과 혈액운행의 정상유지

 陰陽失調 時 문제

 

 

 

제3절 津液

 

1. 진액의 기본개념

개념

 정상적인 체액의 총칭. 체액,위액,장액,눈물,콧물,타액 등의 분비물 (영양물질 함유)

기능

 장부, 형체, 관규 등 기관조직에 분포하여 滋潤과 濡養작용을 담당 (氣의 매개체)

부족시

 모든 조직기관이 자윤 유양이 실조되고, 氣도 진액을 따라 수포가 안 된다.

구분

 맑고 묽으며 유동성이 크다. 피부, 근육, 공규에 분포, 혈맥에 자윤작용

 비교적 농후, 유동성이 적으며 골, 관절, 장부, 뇌, 척수 조직에 분포 유양작용

 

2. 진액의 생성 분포와 배설 : 폐,비,신,삼초 작용, 간의 疏泄기능과 관계(기기원활)

구분

담당장부

과정

생성

 위, 소장,

 대장

 *위  →수곡정미물질을 흡수 진액을 생성

 *소장→청탁분별, 영양분 수분 흡수, 찌꺼기 대장으로 보낸다.(液주관)

 *대장→찌꺼기 중 여분의 수분 재흡수, 나머지 조박 체외배출 (津주관)

분포

 비, 폐, 신,

 삼초의 협력

 *비→위가 진액을 운행하도록 한다. 痰飮,水腫은 진액 운행장애 산물

 *폐→水道통조, 선발(상부,체표,피모), 숙강(하부,내부)으로 津液 輸布

 *신→腎中精氣의 氣化작용으로 모든 진액대사를 추진

      腎中精氣의 蒸騰氣化작용으로 淸氣→삼초→폐→全身, 濁氣→방광

배설

 폐, 비, 신,

 방광

 *폐→腎陽의 蒸騰氣化작용으로 땀구멍으로 배설, 호흡과정에 배출

 *신→濁氣를 방광에 저장 신과 방광의 기화에 의해 배설

 *비→대변으로 배설되는 수액양은 위장흡수와 비 운화기능으로 조절

3. 진액의 생리기능 : 全身을 자윤 영양하고 血로 化生, 氣의 매개체

부위

생리기능

부족 / 손상

 피부모발

 영양 윤택하게 한다.

 건조하고 거칠어진다. / 주름, 탄력성이 없다.

 九竅

 눈, 코, 입을 윤택

 목, 치아, 코 건조, 입술 갈라짐, 코피, 눈 침침, 안구건조

 內臟

 장부 유양

 음식을 받지 못해 소화불량, 장액 고갈하면 변비

 骨髓

 骨髓, 脊髓, 腦髓에 영양을 주어 윤택, 관절을 부드럽게 한다.

 혈맥

 혈액조성 성분. 진액의 풍부한 영양물질은 기능을 원활하게 한다.

 

 

 

제4절 氣 ․ 血 ․ 津液의 상호관계

 

1. 氣와 血液의 관계

기의 역할

관계

病理

 氣는 血을 生成

 營氣와 津液은 脈으로 들어가 결합 혈액으로 변화

 氣虛(血化生機能弱)→血虛

 氣는 血을 運行

 血은 陰, 靜的, 氣에 의존하여 운행

 心氣-추동, 肺氣-선발, 숙강, 肝氣-소설기능

 宗氣부족, 心 氣虛→어혈

 肝 疏泄저하, 울결→어혈

 氣機승강출입저하→非원활

 氣는 血을 統攝

 血이 脈內를 운행, 脈外 이탈방지- 脾기능

 氣虛→각종 출혈

 血은 氣의 母體

 氣는 無形, 有形의 血에 의존, 기는 정혈에 실림.

 장부는 氣에 의해 추진되지만 血의 유양에 의존

 血虛→기 부족→대량출혈

 →氣 소진

 

2. 氣와 津液의 관계

기의 역할

관계

病理

 氣는 津液을

 生成

 기는 脾胃의 運化과정을 推動 자극

 → 진액 생성과 분포를 촉진

 脾胃氣虛→津液化生미약

 →진액부족

 氣는 津液을

 運送

 脾,肺,腎,三焦의 氣는 昇降出入하면서

 끊임없이 운행하여 진액을 운반한다.

 氣부족→氣정체→진액정체

 →수종, 습, 담, 음 형성

 氣는 津液을

 固攝

 진액을 고섭, 진액 유실방지,

 衛氣→腠理고섭(땀조절), 腎氣→下焦고섭(요액조절)

 氣虛→自汗(주리기능실조)

 腎氣虛→遺尿, 요실금

 津液은 氣의

 媒介體

 기는 無形 動的, 有形의 진액에 의존 존재한다.

 →진액의 대량손실은 氣의 유실 초래

 지나친 소변량→전신무력

 (기가 진액을 따라 일탈)

 

3. 혈과 진액의 관계

공통점

 소곡정미가 화생한 근원이 같다. 상호 전화, 진액 ↔ 혈액

차이점

 혈은 脈內, 진액은 脈 안팎을 흐른다.

병리관계

 혈액 급속감소(대량 출혈)→진액 맥 유입되어 혈을 보충→진액감소로 갈증

 진액 급속감소(땀,토사,화상)→혈의 진액성분 脈外로 이동→어혈, 乾血

 

【복습문제】

  1) 기, 혈, 진액의 생성과정과 장부와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기의 각종 기능과 장부의 기능과의 역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혈의 기능과 장부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혈의 순행과정에서 작 장부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진액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기, 혈, 진액간의 상호관계와 생성, 기능, 병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3장 臟과 腑

 

제1절 장부총론

 

1. 장부의 개념

 

臟은 藏이며 貯藏한다는 말로 精氣를 저장한다는 뜻, 腑는 모이는 곳으로 창고 역할을 한다.

 

 

2. 장부간의 관계

 

1) 운반과 저장

구분

기능

특징

병증의 특징

五臟

 精氣를 化生하고 저장

 충만하나 가득차지 않는다.

 虛症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六腑

 消化,吸收,傳導,排泄주관

 가득차지만 충만하지 않는다.

 實證이 요란스럽다.

 

2) 생성과 제약

生成

오행의 相生

 肝 - (筋) - 心 - (脈) - 脾 - (肉) - 肺 - (皮) - 腎 - (骨) - 肝

 木          火          土          金          水          木

制約

오행의 相剋

 腎主心  心主肺  肺主肝  肝主脾  脾主腎

 水剋火  火克金  金克木  木剋土  土克水

 

3) 表裏관계

小腸

大腸

膀胱

三焦

心包

 

 

 

 

 

 

제2절 五臟

 

1. 肝 : 疏泄, 藏血

五志

五液

五主

五華

五竅

表裏

분노(怒

눈물(淚)

근육(筋)

손 발톱(爪)

눈(目)

 

 

1) 부위와 형상

* 횡격막 아래 우측 脇部에 위치, 四斤四兩(1500g), 좌우 두엽

* 肝은 魂을 담고 血을 저장하며 筋의 근본이다.

 

2) 생리특성

* 剛藏, 木性의 曲直, 發散, 春氣의 生長, 發散

 

3) 생리기능

 

(1) 肝은 疏泄을 주관 : 疏는 소통, 泄은 발설

 肝氣가 올라가고 펴지는 기능, 울혈과 지나친 상승소설을 싫어하고 부드럽고 쾌적함을 좋아한다.

생리기능

설명

病理

  氣機를

  잘 통하게

  조절

 상승과 발산을

 주관, 기기의

 소통창달의

 중요역할

 * 소설기능 失調 - 氣機不暢, 肝氣鬱結

   유방옆구리 찌르듯 아픔, 아랫배 더부룩 불쾌한 脹痛

 * 소설기능 恒性 - 肝氣逆上, 煩燥,

   血이 氣를 따라 逆行하면 吐血, 咯血, 氣厥

 * 기기울체 - 혈액진액대사에 영향

   어혈, 담 형성, 腫塊, 담핵, 출혈

  脾胃의

  소화기능

  촉진

 疏泄은 脾胃의

 승강과

 담즙분비배설을

 도와준다.

 * 肝氣鬱結 - 胸脇脹痛, 煩燥, 胃氣하강이 못하여 트림,

   脾氣 상승 못하여 泄瀉증상

 * 疏泄기능실조 - 담즙생성 분비배설에 영향

   비위운화기능장애 : 식욕감퇴, 입이 쓰다. 황달증상

   기름진 것 싫고 복부가 더부룩 답답하다.

 * 氣가 막히고, 水氣가 머물고 배뇨기능장애발생

   水腫, 腹水등의 水分정체현상 발생

  情志를

  소통

  창달한다.

 情志는 외계

 사물에 대한

 뇌의 반응

 심리활동

 * 肝氣抑鬱 - 胸脇脹滿, 마음울적, 의심, 많은 생각, 우울증,

   망상, 잘 운다. 월경불순

 * 肝氣太過 - 마음조급, 煩燥, 불면증, 多夢, 耳鳴, 현훈, 難聽

 * 감정의 변화가 소설기능에 영향.

   大怒, 抑鬱한 감정 - 肝氣鬱結, 疏泄失調

 * 간은 정서와 의식에 관계, 용맹과 지략은 간과 밀접

 

※ 脾는 운화기능으로 폐로 昇↑ 하지 못하면 복부창만, 설사 증상

   胃는 소장으로 降↓ 하지 못하면 복부창만, 트림, 구역, 구토 증상

(2) 간은 혈액의 저장을 주관 : 혈액을 저장하고 혈액량을 조절

생리기능

설명

病理

 간장혈(肝藏血)과

 인체 혈류량의 증감상태

 

 *휴식수면→인체 혈액수요량감소

  →여분 혈액 간에 저장

 *정신육체노동→간 저장혈액을

  배출 필요량 공급

 *인체 활동량 증감, 강약

  정서변화에 따라 혈액량 조절

 

 간장혈(肝藏血)과

 장부 조직활동의 관계

 *간질환시→혈 저장 기능 상실

  →인체 기능 활동에 영향

  → 혈액 병리변화 야기

 *肝血부족→눈이 침침. 근육경련,

  굴신불편, 감각기관 기능저하,

  월경량 감소, 閉經

 간장혈(肝藏血)과

 간주소설의 관계

 

 

 *혈액운행→心肺氣의 추진력

            脾氣의 통섭기능

            肝의 疏泄기능의

            협조 하에 가능

 *肝소설실조→간기울체→혈도불통

  -가슴 옆구리 통증,

   월경이상 어혈, 閉經

 *肝氣逆行→토혈, 코피, 붕루,

 *대노한 후 피 토하는 증상

  →怒傷肝, 肝臟血기인

※ 耳鳴의 원인과 증상  

  * 腎虛 : 매미우는 소리, 귀를 막으면 소리가 감소된다.

  * 肝氣恒性 : 파도치는 소리, 귀를 막으면 더 심해진다.

 

4) 기능발현

기능발현

설명

 ① 간의 神은 魂 [肝藏魂]

 *肝血부족→혼이 머물 곳이 없어 失眠,惡夢,臥寢不安,夢遊,잠꼬대

 *魂이 손상(약물, 마약복용)받으면 精神不振, 恍惚(황홀), 혼수상태

 ② 간의 志는 怒 [在志爲怒]

 *肝陰血부족→肝氣太過(肝氣橫逆, 肝氣上亢, 肝火上炎)→眩暈,

  頭痛, 面紅, 目赤, 易怒, 狂躁, 昏厥

 ③ 간은 筋을 주관 [肝主筋]

 *筋의 활동은 肝血의 자양에 의존한다.

 *肝血不足→수족떨림, 지체마비, 몸을 구부리지 못함

 *肝熱太過→肝風요동, 사지경련,角弓反張, 牙關緊急, 강직증후 발생

 ④ 간의 精華는 爪甲

    [其華在爪]

    (손발톱은 筋의 여분)

 *손발톱의 질과 형태로 건혈의 盛衰파악, 간혈충족 : 강, 윤택

 *肝血부족→얇고, 거칠며, 不윤택 창백. 손톱에 금이 가고 陷沒

 *年老 全身기혈쇠약→손발톱 마르고 부스러지기 쉽다.

 ⑤ 開竅于目, 其液爲淚

    (개규우목, 기액위루)

 *肝은 눈으로 開竅→간의 精氣가 눈에 통한다.

 *肝의 液은 눈물→肝血의 津液이 化生한 水液이 눈 眼壓 유지

 *肝陰부족→눈 건조, 뻑뻑. 肝血부족→흐리게 보이고, 야맹증

 *간경맥에 風熱→눈이 충혈, 붓고 아프다.

 *肝火가 上炎→눈 충혈, 눈곱. *肝陽上亢→어지럽고 눈 침침

 ⑥ 其應在脇(기응재협)

 *간은 우측옆구리 下段腹中위치→氣機는 좌측으로 상승,

  경맥은 협륵(간의 외곽보호조직)에 분포.

 *肝氣鬱血, 經脈不通, 氣滯血瘀→돌아눕기 불편, 더부룩 답답통증,

  찌르는 듯한 통증

2. 心 : 心主血脈, 心主神志

五志

五液

五主

五華

五竅

表裏

기쁨[喜]

땀[汗(한)]

맥(脈)

얼굴[面]

혀[舌]

小腸

 

1) 부위와 형상

 횡격막 위 가슴 한복판, 제5흉추(흉추8번까지)에 부착, 심포락이 보호, 자신의 주먹 크기 12냥

 

2) 생리특성

 火의 臟, 神明出焉(정신작용 발현), 溫熱, 炎上하여 心陽은 인체를 溫煦하고, 心火는 쉽게 달아오름.

 

3) 생리기능

 心은 君主와 같아 神明이 나오는 곳, 血脈 精神 汗液을 주재한다. 陽의 오장, 여름

생리기능

설명

病理

 심은 혈맥을

 주관

 [心主血脈]

 혈액순환을

 推動하여

 전신에 혈액

 수송하는 작용

 *心氣는 정상박동과 혈액의 순환동력으로 작용. 心은 혈액순환

 을 추동, 조직기관을 영양, 정상적인 기능활동을 유지하게 한다.

 *心기능의 정상여부는 심장박동,안색,脈象,舌色,心胸部의 감각.

 *心氣왕성→안색윤택 생기, 脈象은 조화롭고 힘이 있다.

 *心氣부족→心悸不安, 面色不華, 脈細弱 無力(虛症),

  濇脈(색맥), 心痛(어혈), 靑色症

 심은 神志를

 주관

 [心主神志]

 精神,意識,思惟

 등 고도의

 정신활동을 주관

 *현대의학은 뇌 기능에 배속, 장상학은 오장중심 심장에 귀속

  뇌 기능은 心血, 精血이 바탕이 되고, 혈은 心이 주재하여

  神志와 血脈을 주재하는 기능은 서로 밀접하다.

 *心氣충만→맑은 정신 사물반응 예민, 총명 지혜롭다.

 *心臟病變→心神불안, 心悸, 잘 놀란다. 不眠, 헛소리, 정신혼미,

  비애감, 쉽게 怒함. *心陽부족(氣부족)→心悸, 驚恐의 증후

 *心陰부족(자양, 혈, 진액부족)→不眠, 健忘

 *心陽亢盛→정신착란(울다가 웃고, 웃다가 운다), 狂症

 

4) 기능발현

기능발현

설명

病理

 ① 心의 志는 喜

   [在志爲喜]

 유쾌한 정서표현,

 만족, 유쾌, 狂喜

 *지나친 기쁨은 心氣손상, 氣가 이완되고 흩어져

  정신이 머물지 못해 집중을 못한다. 喜傷心

 ② 心은 혀로

    開竅

   [開竅於舌]

 心經의 別絡이

 舌體와 이어져 있다.

 *心氣정상→舌質이 부드럽고 윤택, 미각예민, 혀운동

 *心血부족→舌質 淡白, 心火가 위로 치솟는다.

 *心陰虛→舌質 붉어짐. 舌體 갈라지고 문 들어진다.

 *心血鬱血(어혈)→암자색, 어혈반점

 *心熱, 痰이 심과 혀로 통하는 孔竅를 막으면

  →혀가 굳어져 말이 부자연스럽다.

 ③ 心의 精華는

    얼굴

   [其華在面]

 얼굴은 혈맥이 풍부

 *心氣왕성→얼굴 붉고 윤택 *心血脈虛→얼굴창백 광

  택이 없다. *心氣衰弱(혈운행기능쇠퇴→어혈정체)

  →어두운 회색 청자색

 ④ 心合脈

 맥은 혈의 府, 心氣의

 변화가 脈象에 반영

 診脈의 이론적 근거

 *心氣왕성, 心血충만 →脈象이 완만, 규칙적

 *心氣부족, 心血부족 →脈象細小, 心氣虛衰, 기운행

  不順調, 心血瘀阻(심혈어조)로 結,促,代脈 출현

 ⑤ 心의 액은

    땀

   [在液爲汗]

 땀은 심장의 액,

 陽氣의 증발로

 皮膚로 배출된 체액

 *땀을 많이 흘리면 양기증발로 陰血소모→心氣血 손

  상 心悸, 怔忡(신경쇠약), 생명위급

 *心氣虛→陽氣가 밖으로 흩어져 自汗

 *心血虛→陰이 陽을 수렴 못하여 陽氣 浮動, 盜汗

 

 

[참고] 心包 - 심포락, 膻中이라 한다. 심장 보호작용

 

1) 부위와 형상

* 有形設 : 心을 둘러싼 외막 적황색의 脂膜, 心囊

* 有名而無形設 : 심포락은 삼초와 표리를 이루며 名은 있으나 形이 없다.

* 독립된 장기는 아니나 무형은 아니고 심장 외부를 감싸고 있는 조직

 

2) 생리기능

* 심장을 보호 心의 君火를 代行한다.

* 심포는 相火, 외사가 心에 침입했을 때 먼저 심포락에 발병

* 包絡相火는 心火를 보호 지지, 心火의 主明과 혈맥의 추동을 가능하게 한다.

* 기능약화 : 심화 偏衰 - 심양허 유발   * 지나치면 : 心火熾盛 유발

 

 

3. 脾 : 脾主運化, 脾主昇淸, 脾主統血

五志

五液

五主

五華

五竅(오규)

表裏

생각[思]

군침[涎]

肉(육)

입술[脣]

입[口]

胃(위)

                 

1) 부위와 형상

* 횡격막 아래 中焦에 위치(胃 뒤쪽, 좌측 계륵부), 二斤三兩(200g) 췌장이 붙어있다. 타원형

* 임파기관으로 혈액저장, 수명 다한 적혈구 파괴 장소, 항체생산, 면역반응에 관여

* 췌장은 췌액분비(외분비선), 인슐린분비 혈중의 포도당을 조직의 당원으로 바꾸는 내분비선

 

2) 생리특성

생리특성

脾의 특징

脾 기능 失調시 증상

 脾는 燥를 좋아하고

 濕을 싫어한다.

 [脾喜燥惡濕]

 *脾는 陰土, 濕氣와 相應,

 六淫의 濕邪는 運化기능을 방해

 *脾虛→濕생성, 濕邪→脾陽 손상시킨다.

 *燥濕의 평형유지

  過濕의 예방과 치료에 중점

 脾氣는

 上昇을 주관

 [脾氣主昇]

 *수곡정미를 轉化운송→기육과

 사지를 충실(脾氣主昇이 기초)

 *脾氣主昇은 장부의 正위치를  

 유지하게 한다.

 *脾氣上昇→脾기능이 순조롭다.

 *胃의 受納, 腐熟, 降濁작용에 영향

  → 腹脹, 食少, 惡心, 嘔吐, 泄瀉

 *수곡정미 흡수와 散布에 영향

  → 頭暈, 目眩, 肌肉消瘦, 手足軟弱

 *脾氣가 아래로 꺼지면[下陷]

  → 胃下垂, 腎下垂, 子宮下垂, 脫肛,

     內臟下垂

3) 생리기능

생리기능

특징

기능 失調시

치료

 脾는 運化를

 주관

 [脾主運化]

 

 수곡정미와

 수액은

 생리

 병리적으로

 함께 발현

 ①수곡정미의 運化

 *脾는 정미물질을 화생 흡수

 →肝,心,조직으로 운송

 *胃는 受納과 초보적인 소화

 →脾臟의 運化을 거쳐 완성

 *영양물질은 脾에서 흡수

 →肺로 운송→폐는 心과 血脈

  으로 注入→脾氣작용으로

  全身에 운송, 영양공급

 *脾氣 실조

 →복부팽만, 설사, 권태, 몸이 마름

 脾保치료법:

 脾胃虛弱의

 虛症,

 만성질환에

 응용한다.

 ※脾는 氣血생성역할

 *元氣는 선천이나 끊임없이 脾의

  수곡정기의 자양을 받아야 한다.

 *宗氣 = 폐의 淸氣 + 脾의 수곡정기

 *血+ 中焦의 氣를 받은 정미⇒赤色

 *수곡정기 運化는 脾주관.

  心, 肺의 공통작용

 ②수액의 運化

 *脾는 수액을 흡수 수송

 →수액의 체내 정체를 방지

 →수액을 각 조직으로 輸布

   全身윤택, 水液평형유지

 *수습운화기능 상실→수액 腸胃에

  정체하면 설사, 소변불리

  피부로 넘쳐나면 水腫

  腹腔 내에 머물면 腹水 발생

 *수액운화는 肺 脾 腎의 공통작용

 脾는 統血을

 주관

 [脾主統血]

 *혈액이 경맥 밖으로 넘쳐나

  지 않고 경맥 속에 운행하는

  것은 脾氣의 통괄작용

 *中焦 氣를 주재, 營氣 化生

 →營氣는 혈 統帥, 혈을 固攝

 *脾陽虛→혈 통괄을 못한다.

  코피, 하혈 등의 출혈현상

 *脾氣虛→월경과다, 월경기간외 출혈,

  배변시 출혈, 코피, 멍이 잘 든다.

*血 치료법:

 脾氣 치료

 우선→만성

 출혈성질환

 치료원칙

 

기능발현

설명

病理

 ① 脾의 神은 意

    志는 思

   [脾藏意, 在之爲思]

 *意는 기억, 생각

 *思는 思考, 思慮

  문제에 대하여 반복사고

  비교분석하는 과정

 *과도한 思考→脾氣鬱結→脾氣主昇 失調

  →脾氣運化 失調→氣穴生成原 부족

  식욕감퇴, 얼굴색 누렇고 핏기가 없다.

  頭暈, 目眩, 心悸, 氣短, 건망, 수족무력

 ② 脾는 입으로 開竅

    精華는 입술

 [脾開竅于口, 其華在脣]

 *脾의 기능상태가 입술에

 나타나는 것은 식욕과

 口味 등이 脾運化기능과

 관련이 있다.

 *脾氣부족→식욕저하, 口味異常 입맛없음

 *濕邪가 脾鬱滯→입안 끈적, 텁텁, 달다.

 *비운화 실조의 만성소화불량 환자

  →입술이 마르고 누렇게 되고 無광택

 *脾氣의 정상여부는 입술의 樺色으로 표현

 ③ 脾는 肌肉과 四肢를

    주관한다.

 ① 主氣肉

 *氣 運化작용을 통해 생성된

  영양물질→肌肉을 생장자양

 *脾氣왕성→ 영양충족, 기육 풍만, 壯實

 *脾氣부족→ 영양결핍 기육 연약해진다.

 ② 主四肢

 

 *脾氣왕성→가볍고 힘과 활동이 원활민첩

 *運化실조→사지무력,萎軟(위련)痿症(위증)

 ④ 脾의 液은 涎(연)

    [其液爲涎]

 *涎은 입안 진액, 타액 중

  맑고 묽다, 구강윤택,

  음식물연하 소화를 돕는다.

 *脾胃虛寒→연액이 口角을 따라 흘러내림

 *脾氣虛弱→진액 고섭실조

 *脾陰虛 →연액감소 입안이 마른다.(九乾)

 ⑤ 기응재대복

   (其應在大腹)

 脾 기능→大腹에 반영

 *脾의 위치→횡격막 이하

  臍이상, 足太陰脾經 유주

 *脾運化실조, 脾氣虛 , 寒濕困脾,

  脾胃濕熱, 脾陰虛症 → 大腹脹滿 발생

4) 기능 발현

4. 肺 : 氣주관 호흡담당, 宣發肅降, 通調水道, 朝百脈, 主治節

五志

五液

五主

五華

五竅

表裏

슬픔[憂]

콧물[涕(체)]

코[鼻]

大腸

 

1) 부위와 형상

* 두엽, 좌우 한 쌍, 오장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 제1늑간 ~ 6늑간 사이 위치

* 심장은 좌엽에 붙어 있어 우엽이 더 크다. 흉막으로 둘러싸여 진공으로 되어 있다.

 

2) 생리특성

생리특성

설명

病理

 宣發과 肅降을

 주관

 [肺主宣發肅降]

 *宣은 宣布로 넓게 펴다.

  發은 發散으로 흩어보냄

 *肅은 맑게 하다.

  降은 하강 시킨다.

 *肺宣發⇒氣血津液을

  →全身(內:臟腑,經絡)

        (外:기육,피모)

  골고루 輸布하는 것

 

 *風寒邪氣가 폐 침습 肺氣宣發失調

  →가슴답답, 목구멍 가렵고 기침가래 코가 막힘.

 *宣發과 肅降은 상호보완 양면성이 있다.

 +外邪침입으로 宣發失調→기침, 천식 등 肺氣下降

  못하는 병리가 나타남

 +痰濕이 막혀 肺肅降失調→기침, 가슴답답, 가래

  끓는 등 肺氣가 선발하지 못하는 증후 발생

 *通調水道도 선발숙강작용으로 이루어진다.

 +肺氣下降失調→수액輸布실조→수액의 運輸, 散布

  排泄에 장애발생 부종 등이 생긴다.

  肺爲嬌臟

 (폐위교장)

  不耐寒熱

 (불내한열)

 *肺는 손상이 쉬운 연약

 柔弱한 臟으로 邪氣에 대

 한 耐性이 弱하다.

 *肺는 皮毛와 合하여, 鼻竅를 통해 외부와 통하여

  쉽게 六淫邪氣에 침습된다.

  肺는 六淫에 대해 畏寒, 畏熱, 畏燥, 畏濕한다.

 

3)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① 氣를 주관

    호흡 담당

 *폐호흡: 濁氣를 出, 淸氣를 入, 호흡주관, 종기의 발원

 *宗氣⇒脾胃수곡정기+肺淸氣→胸中축적, 호흡기능을 추진

      ⇒心脈으로 들어가 營血 운행되도록 推動

 *인체는 선발숙강에 산포되는 영양물질에 의존, 정상유지

 *폐는 氣機(昇降出入)조절작용→장부의 기능활동촉진조절

 *肺氣부족

  →少氣발생

 *肺氣虛弱→氣虛

  自汗, 권태, 無力

  元氣 부족증상

 ② 肺는 百脈을

   모아들이고

   治節을 주관

 ①肺朝百脈→모든 脈은 肺에 모인다.

  全身혈액이 經脈을 통해 肺로 모여 신진대사 후 폐기의

  추동력인 宣發肅降에 의해 全 身體로 공급된다.

 *혈액순환은 심장박동이 기본 동력, 血은 肺氣의 추동에

  의존, 경맥의 흐름은 반드시 氣에 의하며 氣는 肺가 주관

 *肺氣虛弱→혈액

  순환추동실조

 →혈행 장애발생

 心悸, 心痛,

 他장부 병변은

 쉽게 폐로 전이

 ②폐주치절(肺主治節)→폐가 心을 도와 기혈운행 관리조절

  肺작용은 인체생명활동의 절조와 주기성을 유지한다.

 ㉠肺氣는 혈액운행동력. 혈액은 호흡운동과 연관, 규칙적인

  리듬운동으로 나타난다.

 ㉡全身의 氣機는 반드시 肺氣의 지배와 조절을 받는다.

 ㉢肺는 선발숙강을 주관, 진액의 수포배설을 관장조절

 ③ 肺는 水道를

   소통 조절

 *肺는 三焦를 통하여 수액의 輸布와 排泄→소통조절작용

  →수액평형을 유지시키는 작용

 *수액대사는 肺通調, 脾氣運化, 腎氣開闔작용에 의해 완성

  나머지 수액은 소변, 땀, 호흡, 대변의 경로로 배출

 *肺 숙강기능⇒ 水氣를 腎으로 내려 보냄

  腎 기화작용⇒ 濁氣→방광→요액 체외배출

             ⇒ 淸氣→폐→선발 숙강기능으로 전신에 산포

 *肺氣下降失調

 →수도통조실조

 →소변불리, 부종

  수액정체 증상

  발현

 

 

기능발현

설명

病理

 ① 肺는 코로

    開竅

   [開竅於鼻]

 *코는 호흡의 문호, 천기 출입통로이다.

 *코의 후각, 通氣기능이 폐기의 작용.

 *肺氣宣發失調→코 막히고

  콧물이 흐르며, 후각기능실조

  肺胃燥熱→코 건조, 코피

 ② 肺의 液은

    콧물

   [其液爲涕]

 *涕는 肺의 津液이 변화한 것

  코를 습윤하고 정상적인 후각 통기작용을

  유지하게 한다.

 *風寒邪氣노출→ 맑은 콧물

 *風熱邪 노출→혼탁 누런 콧물

 *燥邪 노출→ 콧물분비 감소

  코가 건조, 코피

 ③ 肺는 피부자양

    精華는 털

    [其充在皮

     其華在毛]

 *피모는 衛氣, 津液에 의해 따뜻하게 자양

 *衛氣는 땀구멍의 개폐를 담당, 호흡 조절

 *피모는 외사침습을 방어하고 발한,

  체온, 호흡을 조절하는 기능을 유지

 *肺氣虛弱→피부가 건조

           윤택하지 못하다.

 ④ 肺의 神은 魄

    志는 悲, 憂

 ① 肺藏魄→氣魄으로 담력, 식견, 용단을

   말하는 의지와 능력의 종합적 개념,

   피부감각과 지체의 운동기능을 말한다.

 

 ② 在志爲憂→憂悲는 心에서 시작, 폐에서

   반응한다. 喜樂과 상반, 외부자극으로

   발생하는 불유쾌한 반응으로 氣를 소모

 *氣소모→혈액의 흐름에 영향

          血瘀를 야기한다.

 ⑤ 主聲音

 *聲音은 肺氣가 氣道로 나오면서 성문을

  진동 발생. 肺經의 經別은 인후를 순행

  발음기관은 肺氣의 盛衰를 반영한다.

  心은 聲音의 主, 肺는 聲音의 門,

  腎은 聲音의 根이 된다.

 

 ⑥ 其應在胸膺

   (기응재흉응)

 *폐의 생리가 胸膺部에 반영됨.

  膺은 胸의 양측부위,

 *肺氣실조, 氣機가 막히면

  →胸悶(가슴답답), 痺痛

4) 기능발현

 

 

 

 

 

 

5. 腎 : 藏精, 생장 발육, 생식주관, 腎主水, 腎主納氣

五志

五液

五主

五華

五竅

表裏

공포[恐]

침[唾]

뼈[骨]

발(髮)

귀[耳], 二陰

膀胱

 

1) 부위와 형상

 * 腰部 척주 양측 한쌍, 14번째 척추하 양측 일촌오푼, 강낭콩모양, 外腎 [腰者腎之府]

 

2) 생리특성

 * 주칩(主蟄), 봉장지본(封藏之本) : 腎氣의 閉藏 蟄藏작용을 말함

 * 腎은 精을 저장하고 생장발육을 촉진, 납기를 주관한다. 精이 머무는 곳.

 

3)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腎은

  精을 저장

  생장발육

  생식주관

 

 

 

 ①精을 저장 [腎藏精] 腎精은 先天精과 後天精

 *先天精은 胚胎, 생장발육, 생육번식을 관장

  노쇠는 선천정이 소모되거나 없어지는 것

 *後天精은 음식에서 흡수된 영양물질, 脾생성

 *장부에서 사용된 나머지 後天精은 腎에 저장

 *先天精의 기능발휘는 後天精이 길러주고

  후천정이 化生하는 것은 先天精이 작용

  腎氣는 腎精에서 化生한다.

 *腎精충족→腎氣왕성

 *腎精부족→腎氣쇠약

 ②精의 생리기능 생장발육 생식주관

 *腎精氣의 중요기능은 생장발육과 생육번식

  腎氣는 女-14세, 男-16세 성기능촉진물질

  天癸생산. 정자생산, 난자배란 생식능력 갖춤

  女-49세, 男-56세 腎精氣쇠약 생식능력 감퇴

 *腎精부족→불임증, 소아발육

 부진, 근골약화, 智力감퇴 등

 이상초래

 ③腎陽, 腎陰

 *腎陰은 陰液근본, 장부를 부드럽고 축축하게.

 *腎陽은 陽氣근본, 장부를 따뜻하게 하고 生化

 *腎陰陽은 腎의 精氣를 기초로 서로 제약 의존

  상대적 평형을 이룸. 평형이 깨지면 腎陽이나

  腎陰이 허약해지는 병리변화가 발생한다.

 *腎의 정기부족으로 腎의 陰陽失調

  ⇒ 臟의 음양실조를 초래한다.

 *장부의 음양실조 장기화→腎의 精氣소모손상

  →腎 음양실조

 *腎陰虛(肝陰을 자양 못함)→

  肝陰虛→肝陽上亢→肝風來動

 *腎陰虛(心火를 제약 못함)→

  心腎陰虛, 心火上炎 초래

 *腎陰虛(肺陰을 자양 못함)→

  肺腎陰虛 초래→燥熱내부발생

 *腎陽虛(命門火弱 脾陽온후못함)  

→脾腎陽虛초래→내부한습,水氣過

 *腎陽虛(心陽을 온후하지 못함)

 →心腎陽虛 초래

 ④腎과 骨髓 관계

 *腎은 精을 저장→精은 髓를 생산→髓는 뼈 속

  에서 뼈를 길러준다.

 *치아는 골의 여분, 腦는 髓의 海

 *腎精충족→뼈, 치아견고(골수),

  정상적인 정신활동(뇌수)영향

 *腎精虛부족→골격연약, 無力

 (골수부족) 발육부전, 치아 흔들

 리거나 빠진다. 정신활동문제

  腎은

  水液주관

  [腎主水]

 *수액대사는 肺, 脾, 腎, 三焦, 膀胱에서 수행

 *입→胃→小腸→脾 運化작용→肺로 輸布→폐,

  비,신,삼초의 氣化→津液으로 化生→全身자양

 *노폐물은 땀구멍, 방광을 통해 체외 배출

  -수액대사 평형유지

 *대사과정을 거친 수액→淸氣상승, 濁氣하강

 *입→胃→脾(청탁분별)→淸氣 肺, 濁氣 腎으로

 *肺(수액)→淸氣 心脈으로 운반→피부, 주리,

  피모조직에 공급→일부 땀으로 體外배출

 *나머지 心脈으로 다시 돌아와→腎(수액)→

  腎陽의 증화작용→淸氣는 氣化하여 폐로 상승

  →폐→전신으로 산포.  濁氣→방광→체외배설

 *수액대사는 肺의 宣發肅降, 腎의 蒸騰氣化,

  脾는 運化작용이 주도한다.

 *上焦가 막히면→肺氣 선발 숙강

  영향→수액 上焦에 쌓인다.

 *中焦가 안통하면→脾氣의 轉化,

 運輸기능에 영향→中焦에 쌓인다.

 *下焦가 통하지 않으면→腎陽의

 증화기능에 영향→下焦에 쌓인다.

 *三焦는 수액 승강통로

  -腎이 가장 중요한 역할:

 삼초의 기화작용이 腎氣에

 이루어지고, 脾陽은 腎陽을 근원

 방광의 배뇨기능은 腎의 기화작

 용에 의지하기 때문

 

 

  腎은 納氣

  주관

 [腎主納氣]

 *폐가 받아들인 淸氣를 固攝 受納하여 淸氣가

  인체의 深部에 도달하도록 하는 작용

 →폐의 숙강작용에 의해 납입된다.

 *호흡은 폐가 주관하나 淸氣가 腎까지 도달함

  으로써 체내외 氣體의 정상적인 교환이 보장

 *폐는 氣를 주관(出氣), 腎은 氣의 근원(納氣)

  음양이 교차하여 호흡이 조화롭다.

 *出納昇降失調→천식.

 *신의 攝納기능정상

 →호흡 고르고, 氣道가 通暢된다.

 *腎不納氣→腎氣부족, 納氣작용

  감소→흡기가 攝納못하여 역상,

  호흡 얕고 숨이 가빠지거나

  呼氣가 많고 吸氣가 적어진다.

 

 

4) 기능발현

기능발현

설명

病理

 ①腎은 耳와

  二陰으로 開竅

 ①腎開竅於耳

 腎精은 청각에 영향, 耳는 腎의 징후

 *腎精충만→청력예민, 분별력 높다.

 *腎精부족→청력감퇴, 耳鳴, 耳聾

 ②腎開竅二陰

 *前陰→배뇨와 생식기능, 後陰→대변

 *腎氣기화→방광 開(배출), 闔(모임)

 *대변배설은 대장의 傳導작용에 의하나

  腎陽의 氣化도 영향을 끼친다.

 *腎精에 의해 化生된 天癸 고갈

  →폐경, 精少 생식력 상실

 *腎陰虛→변비,

 *腎陽虛 →대변 불통증 증상

 ②腎은 骨 주관

  骨髓를 生成

  腦로 통한다.

 *骨,髓,腦는 奇恒之部이나 발생과 생장은

  腎과 관계가 있다.

 *髓는 骨을 영양하는 骨腔內 물질로

  腎精이 化한 것 [腎生骨髓]

 *腦는 髓의 바다 [腦爲髓之海]

  腦髓는 腎精이 化한 것.

  腎은 뇌로 통한다.

 *腎精氣충만→髓생성왕성→골, 뇌

  정상적 기능 활동, 치아 튼튼,

  지력총명, 사유 민첩, 기억력

 *腎精氣부족→髓생성부족→발육

  부전, 병변발생, 뼈 부실, 골절,

 *腦髓공허→두훈, 이명, 건망, 失眠

 *성인노인 뇌기능 감퇴, 소아 대뇌

  발육부전→腎 保하는 치료

 ③腎의 精華는

   頭髮

  [其華在髮]

 *모발은 혈액의 여분,

  모발의 生氣는 腎에 기원

 *腎精충족→두발생성이 빠르고

            조밀하고 광택

 *腎精부족→쉽게 빠져 성기고 백발

 ④腎의 神은 志

   志는 恐驚이다.

 *신장지(腎藏志)→志는 기억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는 과정

 *腎在志爲恐驚→驚은 외부, 恐은 내부에

  생기는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 감정

 *腎精부족→뇌수공허 志가 깃들지

  못한다.→知力,意識,思惟活動 둔감

 *腎氣虛則恐→腎精氣부족

  작은 자극에도 쉽게 두려워하고

  무서워하며 불안해한다.

 →失禁, 遺精, 遺尿, 대변실금

 ⑤腎의 液은 唾

   [其液爲唾]

 *口腔(혀밑샘)에서 분비되는 진액, 口水

  구강윤택, 음식물 섞고 뭉치는 역할

 *涎液은 脾의 액(양 뺨에서 구각으로),

  唾液은 腎의 액(혀 밑에서 구중)

 *腎陰虛→타액분비감소, 입안 건조

 

 ⑥기응재요

  (其應在腰)

 *腰는 腎의 外候, 신의 생리 병리 변화

  가 腰部에 반영된다. [腰者腎之府]

 *腎精氣虛損→허리시큰, 연약, 통증,

  움직이기 불편, 腎虛腰痛

 

 

5) 命門

 

腎陽 = 命門之火,  인체의 양기로 인식, 腎陰 = 명문의 水

 

 

 

제3절 六腑 : 수곡의 수납, 소화, 흡수, 전도, 배설

 

1. 膽 : 담즙의 저장 배설 주관, 決斷之官

 

1) 부위와 형상

 * 주머니모양, 간의 지엽 사이 우엽 쪽, 간과 연계. 中正之官(맑고 깨끗한 액)

 

2)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담즙의 저장

 배설

 *성질이 차고 쓰며 황록색. 小腸으로 가 脾胃소화

  를 돕는다. 六腑 & 奇恒之部 (精汁 저장, 배설)

 *생성, 분비는 肝 疏泄기능이 조절

 *肝疏泄失調→肝氣鬱結→답즙

  분비실조→上逆, 외부분출→

 옆구리팽만통증, 쓴물구토, 황달

 결단을 주관

 [主決斷]

 *膽氣는 정신 감정활동과 관련

  肝→將軍之官(謨廬주관) 膽→中正之官(決斷주관)

 *膽氣虛→언행不정확, 우유부단

  驚悸, 虛怯, 不眠, 多夢

 

 

2. 小腸 : 受盛化物, 泌別淸濁

 

1) 부위와 형상

 * 굴곡, 복강을 회전 중첩하는 導管형태, 후면은 脊部에 부착, 왼쪽으로 감겨짐. 回腸에 接, 배꼽      상부에 부착. 위로는 幽門과 접하여 胃와 상통, 아래는 闌門과 접하여 大腸과 상통한다.

 * 6~7m 가장 긴 臟器

 

2)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小腸은 受盛

 化物을 주관

 *受盛→쌓아서 담는다. 化物→변화, 소화한다.

 *胃의 내용물을 받아들여 소화를 완성

 *소화흡수장애→복통, 설사,

  便溏(묽은 변) 증상

 淸濁의 泌別

 주관

 *淸氣→脾경유→全身수포

 *濁氣→闌門경유→大腸→체외 배출, 수분→방광

 *수액대사 관련→소변의 量, 色 異常시 小腸고려

 *小腸실조→大便飱泄, 無尿

  小便短澀(삽), 血尿, 설사

  소변 짧고 적어지고 진한 色

 

 

3. 胃 : 수곡의 受納, 腐熟, 通降 주관

 

1) 부위와 형상

 * 횡격막 아래, 상부는 食道와 연결-賁門, 하부는 小腸과 통한다.-幽門

 * 상부를 上脘, 하부는 下脘, 중간을 中脘. 모두다 胃脘이라 한다.

 * 해부학적으로 1~2.5ℓ

 

2) 생리특성

생리특성

설명

病理

 胃는 濕을 좋아하고

 燥를 싫어한다.

 [喜潤惡燥]

 *胃는 陽土로 燥하기 쉽다.

 *病態 生理的으로 燥濕조절이 않 되면

  건조해지기 쉽다.

 *胃 지나친 건조

  →胃陰 손상

 胃氣는 下降을 주관

 [胃主通降]

 *胃는 초보소화 후→幽門→小腸으로 전송

 *순조롭게 아래로 내려야 소화작용 가능

 *통강실조⇒胃氣鬱結→식욕

  감퇴, 중완창만, 변비

  ⇒胃氣逆行→구토, 트림

 

3)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胃는 受納

 주관

 *음식⇒입→식도→胃: 收穀之海, 六腑의 원천

 *胃의 수납기능이 정상→氣血의 원천도 충분

 *胃수납실조→氣血원천부족

 胃는 收穀

 腐熟 주관

 *부숙: 초보적 소화단계

  ⇒일부 脾→수곡정미 運化→폐와 全身

  ⇒대부분 통강작용→小腸(진일보 소화과정)

 *부숙실조→식욕부진, 위완

  식사량감소, 소화불량,

  팽만통

 

★ 胃氣가 있으면 살고 없으면 죽는다.⇒ 胃氣 有無는 질병 예후 판단 근거

 

 

4. 大腸 : 傳導糟粕

 

1) 부위와 형상

 * 小腸과 연결되는 곳-闌門(난문), 대장의 하단은 肛門

 * 결장은 우측으로 돌며 열여섯 개의 굴곡, 직장은 좌측으로 돈다.

 

2)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傳導糟粕

 *대장은 여분의 수분을 흡수,

  대변을 생성하여 배설한다.

 *大腸은 津液을 주관한다.

 *傳導실조→質, 量, 횟수에 이상

 *大腸虛寒→수분흡수무력→설사, 腸鳴, 복통

 *大腸實熱→장액고갈→변비→대변불통

 *大腸濕熱→大腸氣鬱滯→복통, 裏急後重, 便膿血

 

 

5. 膀胱 : 소변의 貯藏과 排泄

 

1) 부위와 형상

 * 하복부 중앙, 腎의 하부, 大腸의 전면. 상부는 수뇨관으로 腎과 연결, 하부는 尿道 前陰

 

2) 생리기능

 * 소변의 저장과 배뇨. 腎과 膀胱의 氣化기능을 통해 체외배출

 * 腎氣化실조→방광구속기능실조→尿頻(뇨빈), 요실금

   膀胱濕熱→尿頻, 尿急, 排尿痛(열이 뇨관 자극)

 

 

6. 三焦 : 전신의 기화작용 통로, 수액운화의 통로, 상중하 삼초 구분

 

1) 부위와 형상

 * 횡격막 이상- 上焦(心, 肺)  횡격막이하 臍 이상- 中焦 (脾, 胃)

   臍 이하-下焦(肝, 小腸, 大腸, 腎, 膀胱, 女子胞) 간은 생리적 기준으로 하초에 귀속(肝腎同源)

 

2)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참고

 全身의 氣化작용

 으로 본 三焦

 ①삼초는 通行元氣를 주관

 *삼초는 승강출입의 통로, 氣化가 진행되는 장소

 *元氣은 삼초를 통하여 오장육부 전신에 도달

 *元氣은 腎근원→三焦→십이경맥→오장육부

 *삼초는 元氣의 別使

 *삼초 통하면 내외, 좌우,

  상하 소통한다.

 ②水道를 소통, 水液을 운행한다.

 *수액대사는 폐,비,신,방광의 협조에 만들어지나

  삼초를 통해야 정상적인 승강출입을 완성한다.

 *삼초실조→水道不通

  →소변불리, 수종

 ③수곡정미의 運化

 *삼초는 정미를 운반, 氣의 化生에 영향

 *삼초는 수곡의 통로

  氣의 시작과 끝

 부위에 따른

 三焦의 기능

 ①上焦: 횡격막 以上, 心, 肺, 頭部

 *기능: 수곡을 받아들이고, 精微를 全身에 산포

 *안개 같다

 ②中焦: 횡격막이하 배꼽이상, 脾, 胃

 *기능: 수곡을 부숙, 진액과 기혈을 化生

 *물거품 같다.

 ③下焦: 배꼽아래, 간,신,소장,대장,방광,생식기

 *기능: 수곡의 찌꺼기를 대소변으로 배설

 *도랑의 물과 같다.

제4절 奇恒之部

 

형태적으로 가운데가 비어 있어 腑와 유사하고, 기능적으로는 精氣를 저장하되 배출하지 않아 臟과 유사하다. 腑와 구별되나 臟과도 달라 奇恒之部라 한다. 腦, 髓, 骨, 脈, 膽, 女子胞

 

1. 腦 : 精神思惟

生理 機能

 시각, 청각, 후각, 정신상태 관련, 기억력, 언어

髓海 충만

 몸이 경쾌, 건강, 체력이 왕성하여 장수한다.

髓海 부족

 眩暈, 目眩, 耳鳴, 정강이가 시리다. 눈앞이 캄캄, 사지무력

臟象學 上

腦의 기능

 *뇌의 기능은 오장에 귀속. 心은 君主之臟으로 精神이 나오고, 肝은 疏泄을

  주관, 腎은 精을 저장, 精에서 髓가 만들어지고 腦는 髓海로 心,肝,腎과 관계

  →情志, 감각기관의 실조는 심, 간, 신을 중심으로 치료해야 한다.

 

2. 骨과 髓 : 골격의 지지, 영양작용

骨의 기능

 *골격은 인체를 지탱, 내장을 보호, 전신의 무게를 지탱한다.

髓의 기능

 *骨腔속의 기름같은 물질, 뼈-骨髓, 脊椎管-脊髓, 두개골-腦髓, 髓는 뼈를 보양

骨髓의 관계

 *腎은 精氣저장, 精氣는 髓를 生成, 髓는 骨에서 충만, 骨은 髓의 영양에 의지

 *피를 만드는 조혈기관. 血虛→腎保하여 精을 충만 시켜야 한다.

腦脊髓

 *척수, 뇌수는 서로 연결 통하므로 합하여 뇌척수라 한다.

腎精氣 부족

 *골수생성부족→골이 연약 무력, 무릎 시큰거리고 힘이 없고 무거운 것 못 든다.

 

3. 脈 : 기혈운행의 통로

脈의 개념

 *脈管으로 心과 통하는 腔管, 氣血을 운행시키는 통로.

脈의 기능

 *氣血을 일정한 궤도와 방향으로 순행시킨다. 營血을 넘치지 않게 한다.

脈의 失調

 *기혈부족→영양부족, 기혈순행이 늦어지면→어혈, 빠르면→출혈

脈과 장부

 *心과 연결되어 밀폐된 하나의 기혈운행통로 형성, 장부와 긴밀히 연결

 *장부의 성쇠→혈액을 흐르게 하는 심장박동과 함께 형성된 맥에 반영된다.

 

4. 女子胞(胞宮, 子宮) : 월경, 임신의 주관, 心,脾,腎,衝脈,任脈과 관련

생리기능

설명

病理

 天癸와 腎의

 작용

 *腎精氣가 충실→天癸생성→생식기관성숙, 월경시작

 *2․7(14)세→腎氣충만→자궁발육성숙→임충맥 通,盛

  (天癸작용)→血海가득→月經시작

 *7․7(49)세→임충맥虛

  →天癸고갈→폐경, 노쇠

  →생식능력상실

 衝脈, 任脈의

 작용

 *衝脈→足少陰腎經을 따라 돌며 양명경과 통한다.

  →12경맥의 海, 血海.   임충맥은 胞中에서 시작

 *任脈→소복부에서 足三陰經과 회합, 陰脈의 海

 *충․임맥 생리기능실조→

  월경불순,붕루,폐경,불임

 心, 肝, 脾의

 관계

 *心-血주관, 肝-血 疏泄, 脾-氣血 化生, 血 통섭

 *月經은 세 臟腑와 관련, 월경은 全身과 정신상태와

  관련: 七情內傷→간기울결→소설실조→월경불순

 *心脾虛→月經量감소

  월경주기불안, 閉經

 *脾통섭실조→붕루

제5절 臟腑간의 상관관계

 

1. 臟과 臟의 관계

 * 五臟의 생리관계→오행의 생극 관계, 母子와 乘侮 관계

 

1) 心과 肺 : 心主血과 肺主氣→혈의 순행과 호흡운동의 관계

관 계

설명

病理

心과 肺

 *血은 心氣의 推動으로 순행하나 肺氣가 정상적으로

  宗氣를 생산, 心脈을 이끌어 氣운동을 조절하여,

  심박동의 율조와 박동수를 정상으로 유지한다.

 *心氣부족, 心陽부진→肺선발

 숙강에 영향→해수, 천식, 숨

 차고 가슴 답답 (肺氣上逆)

肺와 心

 *氣는 血의 운행에 의존하여 전신에 분포, 血운행이

  정상이면 氣운행도 원활하고 호흡이 순조롭다.

 *肺氣虛弱→혈 운행 느려짐→

 가슴 답답, 짧은 호흡, 입술 파

 래짐, 혀 자색 (心血瘀阻證)

溫熱病

 *溫邪가 上部 폐에 침입→心包로 傳化한다.  邪氣가 肺衛→心營으로 침입한다.

       

         

 

2) 心과 脾 :

관계

설명

 心과 脾의 기능

 *心은 血을 주관, 神을 저장  *脾는 혈을 통섭, 氣血生化의 근원

 心과 脾

 *심이 血과 神志를 주관기능이 정상→脾도 氣血의 자윤으로 運化기능이 정상

 脾와 心

 *脾氣運化,統攝이 정상→혈이 맥으로 운행, 일탈하지 않음→心 혈맥 주관정상

 心脾 兩虛證

 *비정상 운화→기혈 화생부족, 통섭능력 상실→혈 손실, 심혈부족

 *지나친 근심걱정→심혈손상→비 운화기능 실조→심비양허증

  증상: 心悸, 不眠, 眩暈, 多夢, 腹脹, 面色不華, 食少, 신체피로

     

 

 

 

 

3) 心과 肝

관계

설명

病理

 心肝의기능

 *心은 혈을 주관, 神을 저장 *肝은 혈을 저장, 魂을 저장

 *심혈부족↔간혈부족

 혈허증→心血虛,肝血虛

 心悸,不眠, 面色不華

 혈액방면의

 관계

 *心은 전신에 혈액을 운행, 心氣는 혈액운행의 동력

 *肝은 혈액을 저장, 혈량을 조절하는 기능

 정신방면의

 관계

 *정신활동은 心이 주관, 肝의 疏泄기능과도 관계

 *心이 안정→神 맑아진다. 神 혼미→혼도 흩어진다.

 *肝血,心血,心陰부족

 →神志불편

 병리관계

 *肝氣過上昇→火上逆→心火上逆

 *지나친 신경→心火항진→肝火상승→肝火上炎

 *心火, 肝火 왕성은 서로

  영향 또는 동시발생

 

 

4) 心과 腎

관계

설명

心腎相交

水火相濟

 *心→陽, 위쪽, 火. 心火는 腎으로 하강→腎陽을 온후해 腎水가 寒해지 않도록 한다.

 *腎→陰, 아래쪽, 水. 腎水는 心으로 상승 心陰을 자양 心火亢盛을 않도록 조절한다.

心腎不交

 *心陰부족↔腎陰부족, 心陰부족→心火偏亢, 腎陰부족→相火强性 ⇒ 心腎의 陰虛火旺

  心悸, 多夢, 耳鳴, 腰膝酸軟(요슬산연), 遺精의 증상

水氣凌心

 *腎陽고갈(수액온후실조)→陽虛→수액범람 心침범→추위, 안색이 창백, 심계, 수종

心血부족

 *心血부족→血이 神을 보양 못함→腎精조갈→뇌수공허⇒건망증, 어지러움, 이명,

  불면, 多夢 등의 心腎精血의 부족→神 부족증상

 

5) 肺와 脾

관계

설명

病理

 氣의 생성

 *肺-氣, 호흡 주관 淸氣 흡입

 *脾-運化주관 수곡을 정미물질로 변화

 *宗氣 ⇒ 淸氣 + 수곡정미

 *肺氣충만→脾氣왕성→氣生化원활

 *肺氣허약→호흡실조→脾운화실조

  →氣생성원천 결핍, 脾氣虛⇒肺氣虛

 水液대사

 *肺-선발숙강주관, 水道 소통조절

 *脾-水濕 運化, 수액 승강을 주관

 *수액대사는 폐와 비의 공동참여

 *脾운화실조→수습, 담음형성, 咳喘多痰

 *肺氣허약→선발숙강실조→水道조절실조

 →수습停滯→비운화실조→수종,권태,복창,

 설사 ⇒폐를 주치료하여 비기능 회복해야

6) 肺와 肝

관계

설명

病理

氣機의

 승강

 *폐는 최상부 횡격막 위에서 하강을 주관

 *간은 하부에서 疏泄주관 氣상승을 주관

 *폐간은 협조하여 상승하강으로 氣機소통

 *肝上昇과다 or 肺氣하강실조→火氣上逆

 →기침,인후,건조,각혈(肝火犯肺,木火刑金)

 *肺氣부족→肝제약 못함

 →흉협창만, 현훈, 두통 (肝氣逆亂)

7) 肺와 腎

관계

설명

病理

호흡방면

 *폐-호흡주관(氣주인)*腎-納入작용(氣 근원)

 *腎氣충만→淸氣는 肺숙강으로 腎에 納入

 *肺氣虛→腎 納氣못함

 *腎精氣부족(納氣못함)→氣 上焦 범람

  →폐호흡 실조, 호흡 촉박 (腎不納氣)

수액대사

 *폐-水道 소통조절

 *腎-기화기능, 수액주관도움

 *선발숙강 실조→水道 소통조절 실조

  →신기능 실조→소변 적어짐, 수종

 *腎陽虛弱→증등기화 허약→수기정체

  →폐로 범람→폐숙강 실조→氣喘,수종

8) 肝과 脾

관계

病理

 *肝→疏泄주관, 脾→運化주관,

  소화와 혈액운행과 관련

 *肝 疏泄정상→脾 運化왕성→

  血液生化원천마련→肝血충만

  →疏泄기능 정상

 *肝血저장, 脾통섭→출혈방지

 *간기울결→소설실조→비운화실조

  肝脾不調⇒우울, 조급, 화, 양옆구리 통증, 식욕부진, 腹脹, 便溏

 *비운화실조→水濕내부정체→脾陽손상, 오래된 濕邪가 熱化→

  肝膽훈증→肝疏泄실조→소화불량,식욕부진,흉협창통,구토,황달

 *脾虛→혈액생성 부족→肝혈허, 脾통섭실조→혈맥外 逸脫

  →월경과다, 붕루

 

9) 肝과 腎

관계

설명

病理

 肝藏血, 腎藏精

 *腎精(氣化)→혈을 化生, 血(傳化)→精

  腎精충분↔肝血왕성⇒精血(肝腎)同源

 *腎精부족↔肝血虛

  精血부족⇒생식기능장애, 筋骨不養

肝主疏泄

腎主閉藏

 *肝소설↔腎藏精⇒ 相互制約, 相反相成

  주기적 월경, 정상적 정액배설로 표현

 *肝疏泄,腎閉藏이 서로 제약 못하면

 ⇒월경불순,과다, 폐경, 遺精, 滑泄

肝腎의 陰陽

 *肝腎陰이 肝腎陽을 제약 못하면

  →相火잠복한다.

 *腎陰부족→肝陰자양 못함→肝陰虛

 →陽제약 못함→肝陽항진(水不涵木)

 ⇒현훈, 눈 침침, 걸음불안, 자주 열

   허리 무릎 시리다.

 

 *肝陰부족, 肝火가 肝陰을 灼傷→하부 腎陰을 당겨 陰虛→火왕성, 相火妄動

  ⇒조급 쉽게 화냄, 面紅, 안구건조, 침침, 허리무릎 시림, 성기능항진

 

 

 

 

 

 

 

 

 

10) 脾와 腎

관계

病理

 *脾→수곡정미 운화, 後天의 本

  腎→藏精, 陰陽의 근원, 先天의 本

 *脾運化는 腎陽의 溫煦의존→건전한 신진대사

 *腎精氣는 脾의 수곡정미 보충→충만,성숙배설

 *脾수액운화와 腎 水주관기능 짝으로 수액평형

 *腎陽부족→脾陽온후실조

 *脾陽虛→腎陽에 파급⇒五更泄瀉, 下痢淸穀

  복부냉통, 脾腎陽虛 병증 ⇒ 수액대사실조

  ⇒形寒肢冷, 小便不利, 수종 (陽虛水泛)

2. 腑와 腑의 관계

관계

설명

 六腑의 기능

 음식물의 소화, 흡수와 노폐물 배설, 수곡을 轉化, 津液운반을 공동으로 수행,

 소화 과정

 입(음식물)→胃(초보적 소화)→①小腸(청탁분별, *맑은 것은 수곡정미로 흡수)→

 脾(運化)→全身에 영양공급 / ②小腸(청탁분별, *탁한 것은 糟粕으로 수송)→

 大腸(燥化, 전송)→항문(체외배설) ③小腸(청탁분별, 수액흡수)→腎(氣化작용,

 잉여분 수액은 수송)→방광(기화작용)→체외배설

 膽의 역할

 담즙 분비→소장으로 보내 소화를 돕는다.

 三焦의 기능

 수액 상승하강 통로. 기화작용으로 收穀轉化, 진액수송을 돕는다.

 소화, 흡수, 배포, 배설 등 각 방면의 기능이 포함된다.

 六腑의 병리

 *胃實熱→진액고갈(대변이 마른다.)→大腸 傳導기능 실조

 *腸진액고갈, 대변이 막히면(胃氣下降실조)→胃氣상역⇒惡心, 嘔吐

 *膽火盛→胃침범(胃氣下降실조)⇒쓴물을 토한다.

 *脾胃濕熱이 肝膽을 熏蒸→담즙 외부유출⇒입이 쓰다. 황달

 *小腸에 熱가득→방광의 소변저장배설 실조⇒소변이 짧고 진해진다.

六腑의 치료

 *轉化不通이 주원인⇒氣 소통시키면 육부 기능 회복

 *邪氣實 또는 精氣虛를 살펴 치료해야,

  胃陰부족→장액소모로 不通⇒陰을 자양, 腸液증가시킨다.

3. 臟과 腑의 관계

 

1) 肝과 膽 : 표리관계, 경맥연결, 肝合膽

관계

설명

病理

 謨慮와 決斷의

 相補相成

 *담의 결단은 간의 모려가 전제, 결단에 실수없다.

 *간의 모려는 담의 결단에 의해 생각, 결정을 함.

 膽虛⇒생각은 하나, 우유부단

 肝虛⇒결정은 하나, 독단적

 疏泄相關

 肝疏泄기능정상 ↔ 담즙저장,분비정상 (상호작용)

 소설실조 ↔ 답즙분비 장애

 肝膽火 왕성

 가슴, 옆구리 아프고, 입이 쓰고, 咽痛, 조급, 화 잘낸다. 간담은 늘 함께한다.

 辨證 시 주의

 *肝(陰,裏)⇒內傷으로 인한 병의 원인,  膽(陽,表)⇒外感으로 인한 병의 원인

 

 

2) 心과 小腸 : 경맥이 얽힘, 표리관계

관계

설명

 心과 小腸

 心經의 實火→小腸으로 熱전달⇒소변량 적어지고 진해진다. 배뇨작열감 (小腸實熱)

 小腸과 心

 小腸의 熱→경맥을 따라 心으로 熱상승⇒가슴답답, 초조, 붉은 혀, 입과 혀에 瘡瘍

 치료 방법

 심의 열이 소장으로 옮긴 증후⇒淸心, 利尿를 고려해야 좋은 효과가 있다.

 

 

3) 脾와 胃 : 同氣, 土의 臟器, 表裏(足太陰脾經-足陽明胃經), 상호촉진기능, 脾合胃

관계

설명

病理

 受納과 運化

 *胃→수곡 受納하여 腐熟

 *脾→수곡정미 흡수 運化, 운송→전신을 영양

 *소화정미흡수는 脾胃는 一運一納으로 상호협조

 *胃 수납실조→脾 精氣운화 실조

 *脾 운화실조→胃 수곡 정체되어

   계속 수곡을 수납을 못한다.

 昇降 相因

 *脾氣→昇을 주관, 수곡정미를 폐로, 전신살포

 *胃氣→降을 주관, 소화물을 소장으로 보냄.

 *脾胃氣의 昇降⇒心肺陽氣 下降, 肝腎陰氣 上昇

                 대립통일 상태 유지하게 한다.

 *脾氣昇淸실조↔胃氣降濁실조

 *淸氣上昇실조(청탁섞여)⇒설사

 *濁氣下降실조(上逆)⇒오심, 구토,

                      식욕부진

 燥濕 相濟

 *脾(太陰濕土)→지나치게 濕하기 쉽다.(喜燥惡濕)

 *胃(陽明燥土)→지나치게 燥하기 쉽다.(喜潤惡燥)

 *濕邪脾침범, 脾氣虛→비운화실조

 *燥熱→위진액손상→수곡수납실조

 脾胃 관계

 胃土는 진액충족⇒수곡수납, 소장으로 수송, 脾土는 陽충족⇒수습운화, 濕邪에 대응

 

 

4) 肺와 大腸 : 경락의 聯係로 표리관계

관계

설명

病理

傳導

 *肺氣숙강에 의해 大腸의 氣가 하강, 조박을 배출

 *大腸 하강작용 원활해야, 폐기하강도 순조롭다.

 *肺氣虛弱부족(숙강실조)→변비

 *大腸氣정체울결→폐기역행

                  胸悶, 喘滿

호흡

 大腸傳導원활→肺氣 淸肅下降→고른 호흡

 *大腸운동 沮滯→호흡촉박, 심하

 면 말할 기운도 없다.(급성증상)

치료

 *폐기허약으로 인한 변비⇒폐기를 保한다.

 *폐實熱⇒대변을 제거하여 폐열을 대장에서 쏟아낸다.

  대장의 氣가 폐를 막으면 肺氣를 열어 대변을 나가게 한다.

5) 腎과 膀胱 : 서로 얽혀서 표리

설명

病理

 *腎氣는 尿液을 가두는 작용, 방광은 開闔작용

 *尿생성배설→방광기화작용에 의지→腎에 의존

 *腎氣부족(氣化실조)→요액 가두는 힘 실조,

  방광개합실조 ⇒小便不利, 失禁, 遺尿, 頻尿

 

 

4. 臟腑와 體表조직기관과의 관계

관계

 *臟腑기능이 균형을 잃으면 經絡을 통해 체표에 반영한다.

 *체표에 질병이 발생하면 경락을 거쳐 소속 장부에 영향을 준다.

 肝과 體表

 *肝은 근육 주관, 상태는 손, 발톱, 눈으로 孔竅가 열림

 *肝血부족→手足振顫(수족진전), 肢體痲木(지체마목), 사지굴신不調, 손톱 얇고 연약

            심하면 손톱 뒤집어지고 부스러진다. 눈이 깔깔, 물체가 흐리게 보임.

 肺와 體表

 *肺는 皮毛를 주재, 외부 邪氣는 피모를 경유 肺氣 침범→咳嗽 유발

 

【복습문제】

 1) 각 장부의 주요 생리기능을 설명하시오.

 2) 장부 간의 (장과 장, 장과 부, 부와 부)의 생리적 협력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각 장부의 조직기관(오체, 관규)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4장 形體와 官竅

 形體(五體) - 皮, 肉, 筋, 骨, 脈.   官竅 - 耳, 目, 口, 舌, 鼻, 咽喉, 前陰, 後陰

 臟腑는 裏, 형체 ․ 관규는 表, 內部에 일어나는 변동은 반드시 외부로 나타난다.

 

제1절 形體

 

1. 形體의 개념

 * 광의의 형체 : 머리, 사지몸통, 오장육부, 근골기육 등 형질이 있는 조직

 * 협의의 형체 : 五體- 皮, 肉, 筋, 骨, 脈

 ①皮-체표를 덮고 있는 피부  ②肉-근육조직, 피하지방조직  ③筋- 筋膜, 건, 인대

 ④骨- 전신의 골격  ⑤脈- 혈액과 營氣기 흐르는 통로, 經脈

 

2. 형체의 기능 및 장부 ․ 경락과의 관계

 * 臟腑의 바깥으로 내장을 보호. 五體는 각각의 氣가 있어 五臟의 氣가 되고, 밖으로 몸체가 된다.

 

1) 皮 : 솜털과 땀구멍(玄府, 氣門, 腠理, 元府)

 * 腠理 : 全身의 氣血營衛가 관통하고 모이는 부위, 氣血津液이 유주하는 통로이다.

 

(1) 皮의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外邪침입

 방어

 *질병에 對한 저항력⇒장부,경락,기혈의 종합기능

 *피부방어기능은 상기 기능의 집중 반영된 것

 *피부조직치밀→외사 차단가능

 *피부이완→病邪 虛한 틈으로 침입

 수액대사

 조절

 *肺脾腎의 기능 외 피부의 開闔(개합)기능과 연관

 *주리이완→땀 많이 흐름, 주리치밀→적게 흐름

  주리개합조절은 체내 진액 유지의 주요 기능

 *계절과 기후변화에 적응하여 주리개합조절 된다.

 *주리無節制이완→땀過多분비→

  陰津손상→陰고갈深化→亡陰

 *委陽停滯→疏泄상실→땀분비실조

  ⇒水腫, 痰飮

 체온조절

 *체온은 陽氣에 의존.

 *체온조절은 주리개합과 衛氣의 작용에 의존

 *땀 분비는 체온조절에 직접적 관계

 *外邪침입→衛氣막힘→땀구멍 막힘

 →체온조절상실⇒氣울결(熱발생)

 →주리疏泄, 땀내서 체표를 연다.

 호흡조절

 *폐는 피모와 合 호흡관장, 개합은 호흡조절협조

 *肺氣虛→호흡 짧고, 自汗

 

(2) 皮와 장부 경락과의 관계

관계

설명

病理

 皮와 肺

 *皮毛營養은 肺선발에 의존한다.

 *肺氣정상→솜털광택, 피부윤택

 *衛氣(主주리개폐)는 肺선발에

  의해 피모에 분포한다.

 肺氣虛⇒精不供給→피모가 초췌, 메마름

  ⇒주리개합실조→表虛, 견고하지 못하면

  →식은 땀, 쉽게 外邪 침입 당함

 皮와 衛氣

 *衛氣는 피부 주리에 분포

  피부를 온후, 영양 공급한다.

 衛氣조화→근육 풀리고 잘 소통, 주리치밀

 피부 부드러워진다. 피모기능은 衛氣와 밀접

 皮와 經絡

 *十二政經은 체표에 분포, 자양,

  관할하는 범위가 있다⇒十二皮部

 *경락은 피부와 장부氣血의 연결통로

 부위별 피부색, 윤택, 형태변화 관찰

 ⇒상응하는 臟腑, 經絡의 病變 파악가능

2) 肉 : 근육조직, 지방 및 피하조직, 근육은 皮下에서 골격관절에 부착

 

 *谿谷: 근육과 근육사이 움푹 들어간 곳, 穴位가 소재. - 氣, 血, 津液, 衛氣, 營氣가 모이는 곳

  谷-큰 고랑, 肉이 많이 모인 곳, 谿-작은 고랑, 肉이 적게 모인 곳

 

(1) 肉의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內臟 보호

 *내장 筋骨의 외부를 둘러싸서 내장을 보호

 흉복부는 내장이 있다.

  外邪 방어

 *피부무늬 성글고 근육이 견고 않으면 痹病

 *脾는 근육의 근본

 脾氣손실→피부, 근육 虛→

 風寒暑濕의 邪氣가 쉽게 침입

 →痹症(근육 마비 통증)

  運動 협조

 *운동은 골관절과 함께 근육생리기능과 연관

 *생장발육→혈기왕성→운동능력 증가

 *脾氣熱(근육자양부조)→肉痿

 *濕邪(근육손상)→肉痿(육위)

     內徑

 *脾臟에 병이 들면 몸이 무겁고, 쉽게 허기지며, 근육무력, 경련, 장딴지 통증

 

(2) 肉과 장부 경락과의 관계

관계

설명

病理

 肉과 脾胃

 *脾胃→수곡정미의 生化주관

 *근육은 수곡정미에 의존 양생

 *痿症 치료는 비위 조절방법이 효과

 *후천지본의 충실여부는 수명과 관계

 *脾胃氣 虛衰→근육자양상실→근육허약

  骨節不調 (痿躄證)

 *질병후기에 大肉陷下, 破䐃脫肉는 위험

  -기육이 몹시 말라 脾氣쇠약한 징후

 肉과 衛氣

 *衛氣는 피부근육사이에서 溫分肉,

  肥腠理작용

 *衛氣실조→근육피부마비 *근육이 성글

  면→衛氣유출→온후실조→수족이 차다.

內徑

 근육이 물컹, 피부무늬 거칠고 성글면 몸이 冷, 세밀하고 치밀하면 熱이 난다.

 

 

3) 筋 : 筋脈, 筋膜, 건, 인대. 骨에 부착, 관절에 모인다. 十二經筋(手足三陽三陰)

 

(1) 筋의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골관절 約束

 *근맥은 골격관절에 부착, 관절의 안정유지

 *근맥의 拘急 이완→골관절 기능에 영향

 *근육이 땡기거나 연축되면 척추가 구

  부러져 설 수 없다. 筋病

운동 주관

 관절이 근의 이완과 수축에 의존 부앙굴신

 肝病은 筋에 영향, 寒濕熱의 外邪가

 근맥에 침입→지체 屈身不調

 

(2) 筋과 장부 경락의 관계

관계

설명

病理

 筋과 肝

 *정미물질의 일부는 간에 저장하고

  이것으로 근맥에 자양을 공급한다.

 *肝血충실→근맥을 자양→정상 활동

 *근맥에 抽축, 拘攣, 顫動은 肝과 관련

 *老年의 간혈부족→筋脈영양부족

  →동작이 느려진다.

 筋과 經絡

 *十二經筋은 十二經脈이 근육에

  연속체계로 주행방향 분포규율이 일치

 *근과 경맥은 생리기능 활동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4) 骨 : 인체 구성하는 버팀목, 연골, 경골

 *骨腔의 내부에 骨髓가 있다. (骨은 髓의 집), 관절-둘 이상의 骨塊가 연접한 기관

 *골격-관절이 연접하여 조성한 골격체계. 노년기는 골질이 경화 탄성이 부족해진다.

 

(1) 骨의 생리기능

생리기능

설명

病理

骨爲幹

 *골격은 인체의 기본 윤곽, 신체지탱, 내장보호

 *골격이 조성하는 관절은 지체운동의 지렛대

  骨손상→肉과 筋에 파급

  →지체운동기능에 영향

  →심하면 내장조직에 영향

 

(2) 骨과 장부 경락의 관계

관계

설명

病理

骨과 腎

 *腎은 骨을 주관, 骨髓를 생산한다.

 *골격의 생장 발육은 腎精의 자양에 의존

 *치아와 골격은 영양흡수 근원이 같다.

 *치아 늦게 발육, 일찍 흔들리는 것

  →腎精부족

 *腎精부족→골수부족→발육불량

 →숫구멍 늦게 닫힘, 연골, 무력

 *골격 치아의 치료는 腎을 補한다.

 *억지 힘→腎氣損傷→허리척골손상

 *腎熱→腰脊不動→골수고갈⇒骨痿

 

 

5) 脈 : 血脈, 脈管, 脈道, 血府, 기혈 운행통로

설명

病理

 脈의 생리기능

 *氣血운행 수곡정미 수송, 전신에 영양공급

 *血行約束→일탈방지, 일정방향 흐름조절

 *脈실조→혈행실조→어혈발생

 *火熱邪氣, 氣虛→脈道손상→출혈

 脈과 장부

 경락의 관계

 *脈은 心陽의 추동과 폐의 宣布작용에 의해 혈액을 맥 중에 흐르게 하고

  氣血의 순환운행을 완성한다.

 

 

 

제2절 官竅

 

1. 官竅의 개념

 * 「官」- 유기체에서 외계와 직접적으로 상통하는 기관 : 耳, 目, 口, 鼻, 咽喉

 * 「竅」- 孔穴, 苗竅의 뜻, 인체와 외계를 연결하는 문호, 유기체의 生理 病理상태를 반영한다.

 * 「五官」- 耳, 目, 口, 鼻, 舌   * 「七竅」- 口, 鼻, 舌, 2x耳, 2x目

 * 「九竅」- 「七竅」+ 前陰, 後陰     오관은 竅라 하지만, 前後陰은 官이라 안한다.

 

 

2. 관규의 기능 및 장부 경락의 관계

 * 관규는 인체와 자연계와 물질교환(연결)하는 기관(통로). 오장의 기능체계와 밀접한 관계

 * 공기, 물, 음식물은 입과 코로 섭취, 활동과정에서 만들어진 찌꺼기는 前後陰으로 배설

 

1) 耳 : 청각기관, 淸陽한 氣로 淸竅, 耳廓에는 전신의 臟器 및 肢體의 반응점이 있다.

관계

설명

病理

耳와 腎

 *귀는 腎의 外竅, 腎主耳

 *腎精충만→耳竅를 자윤, 청력이 민감

 *腎精손상→髓海부족→腦轉耳鳴

 *老年→腎精氣쇠약→청력감소

耳와 心

 *心竅는 혀이나 공규가 없어 귀의 開竅 의존

 *心火와 腎水가 상부상조하여 淸淨精明한 氣

  가 淸竅로 가 청력이 좋아진다.

 *心腎실조→水火가 서로 돕지 못함

 →청력감퇴

耳와 經絡

 *족소양담경, 수소양삼초경⇒耳後→耳中으로 들어가→耳前을 지난다.

 *족양명위경⇒협거→耳前으로 上行  *족태양방광경⇒정수리→耳上角

 *귀가 경맥 장부 등 전신에 걸쳐 광범위하게 연계되어 耳鍼으로 질병을 진단 치료

        宗脈이 모인다.

 

 

2) 目 : 眼睛, 宗脈이 모인 곳, 오장육부의 精氣가 모두 눈으로 모여 보는 작용을 한다.

 *白睛-흰자위, *黑睛-검은자위, *瞳子(瞳神)-흑정중앙의 둥근 구멍, *內眼角-눈의 내각

 *外眼角-눈의 외각, *約束-상하눈꺼풀, *目系-안구와 뇌를 연결하는 맥락

관계

설명

病理

目과 肝

 *간혈저장, 눈은 간혈의 자양의존

 *肝氣는 눈으로 개규

 *肝氣조화로우면 五色을 변별

 

 *肝陰부족→안구건조, 거칠어진다.

 *肝血부족→야맹, 시야 흐려짐

 *肝經風熱→눈이 붉어짐, 가렵고 아프다.

 *肝陽上亢→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침침

 *肝風內動→斜視

目과 五臟

 *오장육부의 정기가 모두 눈으로 가 내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五輪: 骨精→瞳子, 筋精→黑睛, 血精→血絡, 氣精→白睛, 근육精→눈꺼풀(約束)

目과 經絡

 *족태양방광경⇒내안각 睛明에서 시작  *족소양담경⇒외안각 瞳子髎에서 시작

 *수소음심경⇒支脈이 目系에 연결  *족궐음간경⇒目系에 이어진다.

 *수소양삼초경⇒支脈이 외안각에 이른다. *수태양소장경⇒내안각에서 끝난다.

 *督脈⇒支流가 내안각에서 족태양과 결합  *임맥⇒얼굴을 따라 눈으로 들어간다.

 *陰蹻脈⇒내안각의 睛明에 이어진다. *陽蹻脈⇒내안각에 이른다.

 

 

3) 鼻 : 명당, 후각관리, 기체출입

*콧대(山根, 王宮)-이마에 이어진 상단  *鼻準(準頭, 面王)-코끝  *鼻翼-비준 양쪽 융기부분

*鼻孔-콧구멍  *鼻粱(天柱)-콧마루  *鼻毛- 콧털  *鼻隧-비공 안쪽 깊은 곳

관계

설명

病理

鼻와 肺

 *肺의 竅, 通氣와 후각작용은 폐기에 의존

 *肺氣宣暢→호흡 순조롭다.

 *비규소통→냄새를 맡을 수 있다.

 *폐부의 질병은 왕왕 코, 입으로

  오는 外邪에 의해 유발

 *鼻竅질병치료→肺를 주의 변증

鼻와 腦

 *코는 족태양방광경, 독맥, 뇌와 상통한다.

 *코 질환→뇌에 영향

 *腦部병변→후각감퇴, 탁한 콧물

鼻와 經絡

 *족양명위경⇒鼻翼측면시작→鼻根部로 상행→코 외측 따라 하행→상측 잇몸

 *수양명대장경⇒支脈이 인중에서 좌우교차, 콧구멍 양측에 분포

 *족태양방광경⇒내안각시작→이마로 상행→정수리에서 交會

 *수태양소장경⇒支脈이 협부→鼻傍을 지나→내안각

 *督脈⇒이미의 정중 따라 鼻骨로 하행→코끝→윗입술

 *임맥, 양교맥⇒직접 코의 측부를 순행

4) 口, 舌 : 입술, 치아, 혀, 인후를 포괄. 혀는 공규가 아니나 官竅의 하나로 본다.

 *신체의 문, 心의 官. 수곡을 받아 五味를 분별 진액을 분비, 곡식을 갈고, 음성을 내는 곳

관계

설명

病理

 口, 舌과

 心, 脾

 *脾는 입을 주관, 心은 혀를 주관

 *脾는 근육주관, 입술 혀는 기육의 本

 →입술 혀는 脾의 병변 예후진단

 *혀는 心의 苗, 心氣는 혀로 통한다.

 →心氣건실하면 혀 건강, 五味분별가능

 *입술과 혀의 좋고 나쁨→脾病 吉凶

 *脾운화실조→식욕부진, 맛을 못느낌

 *脾濕熱→口甛(입안에 단맛)

 *心血부족→설질 담박, 윤택하지 않음

 *心血어체→암자색, 斑狀출혈

 *心火극성,心陰손상→口舌에 부스럼

 *心神志실조→失語, 譫語

望舌

 *설태는 胃氣의 성쇠반영, 脾胃상태의 外候

 *혀끝-心肺  *혀 중간-脾胃  *혀 양옆-肝膽  *혀뿌리-腎

 *혀는 경락을 통해 장부와 연결, 장부의 병변도 경락을 통해 舌象에 반영

 口, 舌과

 經絡

 *수양명대장경⇒입 양측 순행→下齒 *족양명위경⇒上齒로 들어가→입 양측 입술순행

 *족궐음간경⇒支脈이 뺨 속으로 흘러 입술 속으로 돈다.

 *독맥⇒하행하여 은교에 이름.  *임충맥⇒인후를 지나 상행→입술을 돈다.

 *수소음심경⇒別絡은 舌本에 연결  *족태음비경⇒舌本에 이어져 舌下에 분포

 *족궐음간경⇒支脈이 입술내부를 돈다.  *족소음신경⇒목구멍을 지나 舌本양측순행

 *족태양방광경⇒經筋은 舌本에 연결

 

5) 咽喉 : 입과 肺胃를 연결, 胃에 소속, 목젖은 믐성의 관문

 *호흡과 발성기능  *음료와 곡물의 통로  *喉頭蓋(후두개) : 개합관리

관계

설명

咽喉와 肺胃

 *咽은 탄인(呑咽)이며 수곡의 通利를 주관하여 胃系, 胃氣의 통로이다.

 *喉는 空虛하며 호흡을 주관 呼出, 吸入하여 肺系, 폐의 통로이다.

咽喉와 經絡

 *수태음과 수양명⇒經別은 목구멍을 순행 *족양명경의 支脈⇒인영하행→목구멍순행

 *족태음경⇒인후 양측순행 舌根에 이어짐. *수소음경⇒支脈이 위로 인후양측순행

 *수태양경⇒인후순행→횡격막으로 *족소음 직행하는 脈⇒목구멍 순행

 *수궐음의 經別⇒상행하여 인후양측순행 *족궐음경⇒목구멍순행→頏顙(항상)

 *독맥⇒아랫배지나 직상→인후 *충맥의 상행하는 지맥⇒인후상부와 鼻道로 나온다.

 *임맥⇒인후  *음교맥⇒인후에서 충맥과 교차

 

 

6) 前陰, 後陰 : 남녀 외생식기 및 요도, 항문(魄門), 배뇨생식기능, 대변배설기능

관계

설명

病理

 二陰과

 腎

 *腎수액주관-소변형성, 前陰-소변배설통로

  前陰의 배뇨기능→腎氣化, 開闔작용에 의존

 *생식기능→腎기능에 의존, 腎精化生→天癸

  (생식기능 기본물질) 천계성숙→전음성숙

 *後陰은 대변배설-大腸,脾胃-腎陽,腎陰 관련

  腎陽충실→脾陽建運→大腸傳化정상

  腎陰충실→大腸자윤→상쾌 배변

 *腎濕熱→氣化실조→요도澁痛, 頻尿

 *陽萎→腎氣쇠약원인

 *腎相火 過亢進→陽强, 早漏

 *腎陽부족⇒脾陽虛→運化실조→五更泄

  虛寒下痢 ⇒진액蒸化 腸道자윤 실조

 *腎陰손상→大腸 자윤실조→변비

 *변비는 腎病

 後陰과

 脾

 *족궐음간경⇒대퇴내측순행→陰毛(陰器)순행

  肝主筋, 宗筋은 前陰, 전음의 기능은 肝관련

 *女-월경, 男-정액배설→肝血저장,肝疏泄관련

 *肝질병→男-陽萎, 滑精 女-白帶

 *肝血부족→月經量 줄어듬

 *肝火항진→女-월경과다 男-早漏,遺精

 *肝疏泄실조→女-經期불규칙

              男-발기부전

 二陰과

 經絡

 *족궐음간경⇒陰器를 지난다. *족소음담경⇒毛臍를 돈다.

 *족양명의 筋⇒陰器에 모인다. 족태음경근의 직행하는 분지⇒陰器에 모인다.

 *족소음의 筋은 太陰의 筋과 상행 陰器에 모인다. *족궐음의 筋도 陰器에 모임

 *임맥⇒중추의 하부에서 시작→毛臍로 상행

 *독맥⇒아랫배 밑골 중앙에서 시작→陰器에 絡, 여자 요도구에 이어지고, 남자

        음경을 순행 회음에 이름.  *교맥⇒대퇴의 내측순행 前陰으로 간다.

 *前陰은 宗筋이 모이는 곳, 태음과 양명이 만나는 곳이다.

 

 

【복습문제】

 1) 형체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형체와 장부, 경락간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관규와 장부, 경락간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각 장부의 조직(오체, 관규)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Comments     0.0 / 0